미국의 관세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매파적 신호 등도 변수로 자리 잡고 있어 대다수 전문가들은 한은이 연말까지 한 차례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도 전망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5월 2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21일 이데일리가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경제연구소 연구원, 거시경제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전원이 이번 달 금통위 본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동결을 예측한 전문가 중 9명(82%)은 만장일치 동결을 전망했고, 나머지 2명(18%)은 ‘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나올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지난해 10월 통화 긴축을 종료하면서 올해 5월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총 1.0%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달 금리 동결을 전망한 가장 큰 이유로 가계 대출을 손꼽는다. 최근 서울에서는 2020∼2021년 주택가격 급등기의 가격을 넘어서는 아파트가 속출하고,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지난달에만 6조원 이상 불어나며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나타냈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27일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도 절반으로 축소하는 등 강력한 규제에 나서기도 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최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요동치면서 가계부채 증가와 같은 금융안정 우려가 커지며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목소리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있어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둘 것”이라면서도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 가격 급등세를 고려할 때 대출규제 효과 등을 지켜보고 난 후 대응하는 입장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시장의 관심은 남은 하반기 금리 인하 횟수와 시점에 쏠린다. 전문가들은 올해 연말 기준금리가 2.25%(중간값) 수준일 것으로 관측했다. 현 수준에서 추가 25bp(1bp=0.01%포인트) 한 차례 인하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 11명 중 8명(73%)이 다음 금리 인하는 오는 8월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나머지 2명(18%)은 10월, 1명(9%)은 8월 혹은 10월로 전망했다.
문홍철 DB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재정과 통화정책의 조합을 이끌고, 부동산 규제가 효과를 본다면 인하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며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00원 중반대로 내려가면서 금리 인하에 우호적인 여건”이라고 말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8월 인하를 기본으로 하되, 서울지역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지수와 가계부채 월간 증가율 둔화 추이에 따라 10월로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연말 최종금리에 대해선 2.00%(중간값)로 예상했다. 연 2.00%을 예상한 응답자는 4명이고, 연 2.25%에는 3명이 손을 들었다. 이밖에 연 1.75%와 1.50%도 한 명씩 있었고, ‘아직 미정’이라는 응답도 있었다. 대다수가 올해 금리 인하 이후로 내년에는 금리를 동결(4명)하거나 한 차례 정도 추가 인하(4명)가 있다고 본 것이다.
내년 금리 동결을 예상한 윤여삼 연구원은 “국내 자체적으로 큰 틀의 경기 바닥 형성과 확대 재정(2026년 예산도 큰 폭 증가 전망) 결과를 지켜볼 것”이면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가 악화되거나, 미국 고용 둔화가 심화해 연준의 금리 인하가 속도를 낼 경우 외부 요인으로 추가 인하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내년 한 차례 추가 인하를 전망한 안예하 연구원은 “내년도 예산안도 확장 기조로 나아갈 것으로 판단해, 한은도 정책 공조 차원의 추가 인하로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변수로 가계부채와 함께 연준의 금리 인하를 꼽았다. 현재 시장에선 연준의 연내 2회 인하를 전망하고 있지만 관세가 변수다. 만약 연준이 연내 금리를 동결하거나 3회 이상 인하에 나선다면, 한은도 한미 금리 차를 의식해 인하 속도 조절을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과 속도는 금리정책 동조화 측면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