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인건 간송미술관 관장(왼쪽부터)안나 예이츠 서울대 국악과 교수, 길기연 서울관광재단 대표, 박상원 서울문화재단 이사장(서울관광재단 제공)
세계를 선도하는 한류 콘텐츠가 공존하는 도시입니다.글
로벌 예술 허브 도시로 도약하겠습니다."(길기연 서울관광재단 대표) 서울의 예술과 관광을 융합한 민관 협력체계가 본격 가동된다.
서울관광재단은 16일 돈화문국악당에서 '서울예술관광얼라이언스'(SATA) 발대식을 열고 서울을 글로벌 예술 허브 도시로 도약시키기 위한 공동 비전을 발표했다.
SATA는 예술과 관광산업의 연계를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결성됐다. 현 수준 국내 최대 규모의 예술관광 민관협의체다.
올해 5월 공모와 심사를 거쳐 6월 최종 확정한 회원사는 총 83개 사, 공연·전시·관광·유관기관 4개 분과로 나뉘어 구성했다.
공연분과에는 △국립정동극장 △세종문화회관 △서울돈화문국악당 △샤롯데씨어터 등 19개 기관이, 전시분과에는 △간송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리움미술관 △송은 등 30개 기관이 참여한다.
관광분과에는 △보석관광 △유에스여행 △아주인센티브 △트래블레이블 등 26개사, 유관기관에는 △서울문화재단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시립교향악단 등 8개 기관이 이름을 올렸다.
길기연 서울관광재단 대표는 "이번 민관협의체 출범은 산업을 넘어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서울형 예술관광 생태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서울의 예술성과 창의성이 관광 경험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민간 파트너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상원 서울문화재단 이사장 © News1 윤슬빈 기자
이날 행사에는 문화·예술·관광 업계 관계자 다수가 참석했다.
축사에 나선 박상원 서울문화재단 이사장은 "서울의 예술과 관광은 이제 하나의 흐름으로 만날 시점"이라며 "서로 다른 분야의 역량이 융합될 때 새로운 창조적 에너지가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인건 간송미술관 관장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예술관광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이번 얼라이언스를 통해 서울이 더욱 풍부한 문화도시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관광재단은 이날 행사에서 △예술관광 기반 구축 △상품화 및 유통 △브랜드 강화 △편의성 개선을 4대 핵심 추진전략으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예술관광 생태계 조성, 관광객 유치, 경쟁력 강화, 인지도 확립 등 중장기 목표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행사에서는 독일 출신의 판소리 연구자이자 소리꾼인 서울대 안나 예이츠 교수가 '수궁가'와 '심청가' 일부 대목을 한국어·영어로 열창해 큰 호응을 받았다.
참가자들은 스마트안경을 통해 실시간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시연하며, 국악 콘텐츠의 해외 관객 접근성 확대 가능성도 함께 체험했다.
seulb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