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7개월째 '경기 하방압력' 진단…"소비심리 개선, 긍정 신호"

경제

뉴스1,

2025년 7월 18일, 오전 10:10

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2025.7.8/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내수 부진과 미국 관세발(發) 불확실성으로 경기 하방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심리 개선 등 일부 긍정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는 정부 진단이 나왔다.

기획재정부는 18일 발표한 '2025년 7월 최근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의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우려 등 경기 하방압력이 여전한 상황이나 소비심리 개선 등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지난 1월부터 7개월 연속 내수 부진과 미국 통상압력에 따른 경기 하방 압력을 언급하고 있다. 다만 이번 달에는 새로 '소비심리 개선'을 긍정적인 부분으로 평가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 대비 6.9포인트(p) 오른 108.7로 2021년 6월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대외 경제에 대해서는 "주요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되고, 교역·성장 둔화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5월 산업활동지표는 광공업(-2.9%), 서비스업(-0.1%), 건설업(-3.9%) 모두 전월 대비 감소하면서 전(全)산업 생산이 1.1% 줄었다. 지출 부문에서 소매판매는 보합이었으나, 설비투자(-4.7%), 건설투자(-3.9%)도 부진했다.

반면 수출은 반도체 업황 개선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했다. 일평균 수출액은 28억 5000만 달러로 6.8% 늘었다.

고용 시장에서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8만 3000명 늘었고, 실업률은 2.8%로 0.1%p 하락했다.

물가는 석유류 및 가공식품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2% 올랐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2.0%로 전달과 동일했다.

기재부는 "경기·민생 회복을 위한 31조 8000억 원 규모의 추경을 최대한 신속히 집행하고, 21일 지급 예정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범정부적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 지원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min785@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