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팀펄 제공
현대 미술은 점점 더 다층적인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예술과 기술이 결합된 '융합 예술'이 부상하면서, 작품의 경계는 한층 더 유연해졌다. 단순한 회화나 설치를 넘어 기술적 실험과 서사가 결합된 새로운 예술 형식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아트코리아랩 시연장D에서 열리고 있는 전시는 흥미로운 시도를 보여준다. 일명 '피어리 팝업'이라 불리는 이번 전시는 관객이 단일 작품을 감상하는 대신, 하나의 세계관 속으로 들어가 직접 경험하도록 구성됐다. 융합 예술 그룹 '팀펄'은 전시장 전체를 하나의 유기적 공간으로 엮으며, 관객을 자신들의 세계관으로 끌어들인다.
전시의 중심에는 가상 생명체 '피어리(Peary)'가 있다. 일본대사관 건물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내는 피어리는 팀펄의 세계관 속에서 태어난 존재로, 관객은 첫 번째 공간에서 AR 기술을 통해 피어리와 소통하거나 사진을 찍고, 두 번째 공간에서는 피어리를 탐구하는 게임을 체험한다.
포토부스, 노리개 키링 키트, 인터랙티브 장치 등이 이 세계를 구체적으로 완성한다.
팀펄은 이번 전시에서 피어리의 '대리인'으로서 관객을 맞이한다. 전시를 준비하며 60일 전부터 온라인을 통해 피어리에게 보내는 편지를 모집했고, 현장에서는 선정된 관객에게 직접 답장과 선물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했다.
관객은 단순한 방문자가 아닌, 피어리 세계관의 일부로 접속하게 되는 셈이다.

사진=팀펄 제공
팀펄 정혜주 기획자는 "피어리는 가상 생명체이기 때문에 현실의 관객이 만나기 위해선 매개체가 필요하다"며 "전시의 모든 구성 요소에 세계관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성수진 아트디렉터는 "우리는 이런 과정을 ‘접속’이라 부르며, 전시 제목 'PPP(POP-UP! PEARY)'는 바로 그 의미를 담고 있다"고 덧붙였다.
겉으로 보기에는 캐릭터 전시나 팝업스토어처럼 보일 수 있지만, 팀펄은 이를 현대 미술의 새로운 언어로 정의한다. 상업성과 예술성, 현실과 가상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피어리’라는 가상의 존재를 통해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사유하고, 예술의 확장 가능성을 실험하는 것이다.
현재 팀펄은 세파퓨처리즘(Sepafuturism) 세계관을 기반으로, 가상 생명체 피어리(Peary)와 함께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 예술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alexei@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