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중견 주택은 대체로 국토교통부의 시공 능력 평가 60위권 밖의 건설사들이 공급하는 500가구 안팎의 공동 주택을 의미한다.
올해 1분기 공급 실적은 작년 동기(1만9075가구) 대비 74.8% 감소했으며 전분기(2만4693가구)와 비교하면 80.5% 줄었다.
건설과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은 가운데 지방의 미분양 문제가 악화하면서 지방 소재 비율이 높은 중소 건설사들의 분양 실적에도 여파가 고스란히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3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8920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6.1% 늘었다.
이 중 지방 미분양(5만2392가구)은 76.0%를 차지했다.
수도권의 대형 건설사 브랜드 중심으로 수요가 몰리는 ‘똘똘한 한 채’ 현상이 심화하면서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떨어지는 중소 건설사의 주택이 외면받는 현상도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중견 주택 분양 실적이 당초 계획된 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올해 1분기는 59.9%로 나타났다. 10가구를 공급할 계획을 세웠지만 실제로는 6가구만 팔린 셈이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 탄핵 이후 대선에 따른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중소 건설사들은 아예 분양 계획 자체를 잡지 않는 분위기다.
1분기 공급 계획 물량은 전년(4만1007가구) 동기보다 80.4% 줄어든 8038가구로 집계됐다.
잠정 집계된 이번 달 계획 물량(1615가구)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2.8%(4329가구)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이번 달까지 전국 17개 시도 중 분양 계획이 나온 지역은 월평균 6.2곳에 그쳤다. 새 주택 공급 계획이 없는 지역이 매월 10곳 이상인 셈이다.
특히 광주, 울산, 세종은 올해 들어 5개월간 분양 계획이 전무했다.
중견 주택 업계에서는 중소 건설사들의 실적 개선과 지방 분양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건협 관계자는 “역대급으로 주택 경기가 안 좋은데 회원 중 지방 업체들이 많다 보니 전체 분양 실적도 대폭 하락했다”면서 “현재 정부의 미분양 대책에는 수요 진작책이 없어서 지방 미분양 주택 구입시 5년간 양도세 면제를 포함한 세제나 금융 지원책을 계속 건의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