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덕적도 K-드론배송 장면. (사진=국토교통부)
올해는 참여 지자체가 23곳으로 늘어난다. 44개 섬과 122개 공원 등 전국 166개 지역에서 드론으로 생필품, 택배, 먹거리 등을 전달하게 된다.
특히 섬 지역 주민 생활안전을 위한 드론 공공서비스가 시행된다. 지역별로는 여수시 상화도·하화도·제도에서는 드론배송과 함께 해양경찰과 협력해 해안 위험지역을 순찰한다. 울주군 진하해수욕장에서는 하반기부터 드론 안전순찰이 시작된다.
보령시 고대도·장고도·삽시도에서는 폐의약품을 드론으로 원산도까지 운반해 보건소에 인계하는 서비스를 운영한다. 인천광역시는 덕적도에서 드론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며, 무의도와 영흥도 인근 갯벌에서는 해루질(해안에서 손으로 어패류를 잡는 일) 사고 예방을 위한 드론 모니터링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제주 비양도-금능리 드론배송거점 전경. (사진=국토교통부)
도심지와 관광지에서도 드론배송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성남시는 7~8월 탄천 일대 금곡공원 물놀이장, 구미동 애견놀이터, 맨발황톳길 등에서 드론배송을 운영하며 9월부터는 중앙공원에서도 배송을 확대할 예정이다. 울주군은 해발 900m 억새 명소 간월재를 비롯해 작천정 별빛 야영장, 서생 대바위 공원 등 총 15개 지점에 음식물을 드론으로 배송하고 있다.
의료물류 분야에서도 드론배송이 도입된다. 대전에서는 국군대전병원과 적십자 대전혈액원 간 15㎞ 이상 구간에서 혈액검체를 드론으로 이송하는 실증 사업이 시작된다. 군 의료체계에 드론배송 체계를 적용하는 첫 사례로, 긴급 수송체계의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K-드론배송을 전국으로 지속 확대해 나가고, 갯벌 해루질 드론 모니터링 서비스는 다른 지자체에도 도입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며 “드론배송 안전관리도 한층 강화해 비행 전 위험평가 및 기체 상태 시스템 체크를 의무화하고, 한국교통안전공단을 통해 드론배송업체 안전점검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