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서울 토지기록, 내년까지 ‘100만건’ 전산화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8월 14일, 오전 06:42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서울시는 일제강점기부터 1970년대까지 작성된 토지기록물을 복원해 전산화하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서울기록원에 보관 중인 토지이동결의서.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일제강점기부터 1975년까지 작성된 토지기록물을 복원해 전산화하는 ‘영구 토지기록물 데이터베이스(DB) 통합 구축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올해 44만건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100만건, 2030년까지 200만건에 대한 디지털화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서울기록원에는 종이나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토지이동결의서 등이 보관돼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디지털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안전한 보존체계를 마련, 온라인으로 검색 및 열람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DB 통합 구축 사업을 통해 서울시는 역사적 가치 보존과 함께 필요한 자료를 신속하게 검색·열람해 기관별 분산 기록을 통합·관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장기 미해결 민원이나 토지 관련 소송에 필요한 과거 이력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행정 처리 정확도와 속도를 높여 민원대응력 향상과 공공 서비스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는 체계적으로 복원된 토지기록을 도시계획이나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공간정보시스템 등 다른 행정 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부서 간 정보 공유와 데이터 기반 행정 운영 토대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구축된 DB를 토지 관련 조사, 개발사업 및 보상 업무, 부동산 정책 등에 활용하고 한 곳에서 열람 및 검색할 수 있도록 지적보존문서시스템 일괄 검색·열람 기능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우리 땅의 역사를 보존하고 되새기는 뜻 깊은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행정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고, 시민 편의를 강화하는 디지털 기반 기록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