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은행에서 미국의 고관세 정책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다며 정책금리를 현행 0.5%에서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고 13일 보도했다. 아사히신문도 이번 회의에서는 현행 정책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이날 보도했다.

히미노 료조 일본 부총재(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17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한 것을 시작으로 작년 7월 기준금리를 종전 0∼0.1%에서 0.25%로, 올해 1월 0.5% 정도로 각각 올린 뒤 그 이후에는 계속 동결 결정을 반복해왔다.
한편, 일본은 5500억달러(약 763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결정하면서, 15%의 관세를 협상했다. 현금흐름(수익)이 발생하면 일본이 투자금을 회수할 때까지 미·일이 50대 50으로 수익을 나누고, 투자금 회수 이후에는 미국이 수익의 90%를 가져가는 구조다. 미·일 합의문에 따르면 미국이 자체적으로 투자처를 선정하면 일본은 45일 내에 현금을 송금해야 하며 이후 미국이 원하는 방식대로 운용하는 내용이다.
일본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이 국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인다. 일각에서는 한국은행이 미국·일본의 통화정책 차이를 고려해 금리 정책을 조율할 수밖에 없으며, 일본이 동결한다면 한국의 독자적 금리 결정 여지를 넓혀준다는 시각도 나온다.
국내에서는 다음달 23일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리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점쳐진다. 힌국은행은 과도한 기대심리를 억제하기 위해 매파적 메시지를 내기도 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준금리 인하의 변수는 수도권 집값으로, 금리 인하가 주택시장을 재차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