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건축계, 도시건축 혁신 논의…“지방 빈 공간을 자산으로”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9월 30일, 오후 07:05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빈 공간은 방치하면 흉물, 활용하면 자산입니다. 지방소멸에 대응할 건축사 제도와 빈 건축물을 공공 공간으로 무상 제공할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가 필요합니다.”

문승규 건축사가 30일 서울 정동에서 열린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간담회’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우리나라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해 건축계가 나선 것이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이 30일 서울 중구 정동에서 열린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토교통부)
이날 간담회는 국토부가 국토의 균형 성장과 국민행복공간 조성을 위해 건축계 의견을 청취하고자 마련한 자리다. 현장에는 김윤덕 국토부 장관과 전문 건축사 6명, 김진애 국가건축정책위원장, 박환용 건축공간연구원장을 비롯해 한국건축사협회·대한건축가협회·한국건축학회 등 건축계 단체장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좋은 건축을 통해 우리나라를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함께 해달라”며 “국토 균형발전과 지역 활력 회복을 위해 건축계와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이번 논의를 통해 건축공간문화자산을 적극 활용하고 공공건축 품질을 높이며, 한옥·목조건축 활성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건축문화를 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특히 공공건축 설계공모 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해 청년 건축사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는 취지에서 연내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건축공간문화자산은 한옥이나 근대건축 등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과 사회·경관적으로도 현재와 미래에 의미가 있는 공간과 기반시설이다. 전국에는 한옥, 근대건축 등 역사·문화적·경관적 가치를 지닌 건축공간문화자산이 6657곳 있다.

조병수 건축사는 “우리나라는 아름다운 국토 경관을 보유하고 있다”며 “특히 지방도시는 지역만의 이야기와 매력을 살릴 수 있는 디자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부와 건축계는 이 자산을 활용해 사람들이 가보고 머물고 싶은 도시를 조성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모았다. 건축계와 함께 지방 중소도시 건축문화를 진흥해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지방 도시에 방치된 빈 건축물은 디자인을 입혀 문화·휴식공간으로 재생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공공건축 설계공모 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해 청년 건축사들의 참여 기회를 넓히자는 의견도 나왔다. 신정엽 건축사는 “공공건축 품질을 높이려면 공정한 설계공모 시스템이 절실하다”며 “지역의 청년 건축사들이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국토부는 간담회 결과를 토대로 공공건축 설계공모 제도의 공정성 강화를 위한 구체적 제도 개선을 올해 안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건축공간문화자산 활용 확대 △빈 공간을 공공공간으로 재생하는 방안 △한옥·목조건축 지원책 마련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30일 서울 중구 정동에서 열린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간담회’현장. (사진=국토교통부)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