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토위 국정감사에서 맹성규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건설현장 사고는 전체 산업재해의 절반에 육박하며 사망사고 감소는 국가의 책무와 직결되는 중대한 과제”라며 각 사 대표들에게 발언 기회를 줬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원회에서 열린 국토교통부에 대한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건설 사고 증가 관련 증인으로 출석한 건설업계 대표들이 자리에 앉아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이사 사장도 “과거의 잘못에 책임을 피할 생각이 없다”며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하는 안전대책이 무엇인지 찾기 위해 작년 하반기부터 예산·인력·제도 전반을 재점검하고 시행한 결과, 중대재해 건수가 획기적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사장은 “그럼에도 여전히 건설사는 중대재해 앞에 ‘죄인’”이라며 “법정관리비보다 많은 비용을 투입해 협력업체까지 관리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으로 일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조태제 현대산업개발 최고안전책임자(CSO) 대표이사는 “두 차례의 대형 사고를 통해 사회적 책임과 기업 존립의 위협을 체감했다”며 “사고 이후 전면적인 조직 개편과 인적 쇄신, 절차 개선을 단행했고, 근로자의 사소한 실수로도 사고가 나지 않도록 세밀한 예방 체계를 구축 중”이라고 설명했다.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는 “사고로 희생된 분들과 가족들께 다시 한번 깊이 사죄드린다”며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을 넘어 안전과 품질의 기준 자체를 높이고, 이를 기업 문화로 정착시키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안전과 품질이 회사의 생존을 위한 핵심 가치임을 명심하고, 중대재해 근절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 역시 “중대재해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송구하다”며 “경영 성과보다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재해 예방에 전사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맹성규 위원장은 “각 건설사가 안전조치 강화 의지를 밝힌 만큼 오는 10월 29일 종합감사에서는 건설협회 관계자도 증인으로 불러 산업재해 근절 방안을 함께 논의하겠다”며 “국회와 정부, 업계가 협력해 현장 중심의 실효적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