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7일 종로구 세운상가 옥상정원을 방문해 브리핑 후 세운4구역 현장을 내려다보고 있다. (사진=서울시 제공)
이날 최휘영 문화체육부 장관은 허민 국가유산청장과 서울 종묘 정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취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해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는 일에 앞장서겠다”며 “문화강국의 자부심이 무너지는 계획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의 목록 삭제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갈등은 지난달 30일 세운4구역 건물의 높이를 당초 종로변 55m, 청계천변 71.9m에서 각각 종로변 98.7m, 청계천변 141.9m로 높이는 내용을 시보에 고시하며 시작됐다. 서울시는 종묘와 재개발 지역과 거리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기준인 100m 밖에 있어 규제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날 대법원이 서울시가 문화재 인근 고층 건축물 규제 조항을 조례에서 삭제한 것이 위법이 아니라고 판결되며 갈등이 일단락되는 듯 보였다. 다만 이날 문체부와 국가유산청이 반발하며 다시 갈등의 불씨가 발생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오 시장은 “세운지구를 비롯한 종묘 일대는 서울의 중심임에도 오랫동안 낙후된 채 방치돼 말 그대로 폐허나 다름없는 상태”라며 “종묘의 가치를 보존하고 더욱 높이며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할 때”라고 말했다. 세운 녹지축 조성 사업은 종묘 맞은편인 세운4구역부터 남산까지 이어지는 녹지축을 민간사업자에게 조성하도록 하고 인센티브로 고층 빌딩을 올릴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이다.
오 시장은 문체부와의 대화를 통한 논의를 제안했다. 그는 “서울시에 아무런 문의도 의논도 없이 지방정부 사업을 일방적으로 폄훼하는 모습에 강한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시민들의 고견을 모아 무엇이 역사적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미래의 문을 활짝 여는 방법인지 진지하고 성숙한 자세로 함꼐 논의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감정적 대립이 아닌 진지한 담론의 장을 형성하고 토론을 통해 문화재적 가치를 높이며 도심 개발도 할 수 있는지 양립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나가는 논의의 과정이 꼭 필요하다”며 “조속한 시일 내 대화의 장을 마련할 것을 제안드리고 다음주 초라도 만나 뵙고 서울시의 설명드리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