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의 모습.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또한 청약통장 가입자는 2022년 6월 2859만 9279명에서 3년 3개월 만에 224만 9345명이 감소했다.
가입자 수는 2022년 중반부터 내림세로 전환된 이후 올해까지 2년 8개월간 매달 감소세가 이어졌다. 올해 2월 가입자는 2643만 3650명이었다.
주택도시기금 주요 재원인 청약통장 저축액이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는 2022년 11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청약통장 금리를 인상했다. 또 소득공제 한도를 연 300만원으로 확대하는 등 가입 유인책도 내놨다. 그 결과 올해 가입자 수가 3월 2643만 8085명으로 4435명 증가하며 2년 9개월 만에 반등했지만, 이후 7월 2636만 6031명에서 8월 2637만 3269명으로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매달 감소세가 이어졌다.
청약 경쟁률이 치열해지면서 수요가 위축된 것이 청약통장 가입자 감소 속도를 높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부동산 전문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1∼10월 전국 아파트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7.1대 1로, 2020년(26.8대 1)의 4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분양가가 급등하고 당첨 가점은 점점 높아지면서 당첨될 확률이 낮아지는 것도 청약통장 매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전국 민간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는 2021년 1303만원에서 2025년 9월 기준 2118만원으로 약 62.5% 올랐다.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급등하면서 실수요자의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최근 대출 규제 강화도 청약시장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 6·27 대책으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됐고, 10·15 대책 이후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무주택자 기준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70%에서 40%로 낮아졌다. 분양가가 높을수록 잔금대출 한도도 줄고,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 방식도 막혔다.
전문가들은 청약통장 감소세가 단순한 제도 피로감보다는 실질적 진입 장벽의 결과라고 보고 있다. 월용청약연구소 박지민 대표는 “고분양가 때문에 저렴한 새 아파트를 찾기 어려워졌고, 시세 차익이 큰 단지는 높은 가점의 청약통장만 당첨 가능해 일반 가입자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리얼투데이 구자민 연구원은 “청약 접근성 저하와 금융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분양가 안정화와 제도 개선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실수요 중심의 시장 회복은 쉽지 않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