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주택산업연구원)
13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대비 20.7포인트 하락한 65.9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31.0포인트 하락한 64.1, 비수도권은 18.5포인트 하락한 66.3으로 전망됐다.
우선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무려 35.1포인트 하락한 71.7을 기록한 가운데 경기와 인천도 각각 32.0포인트, 26.2포인트 하락한 62.8, 57.6으로 집계됐다. 주산연은 “10·15 대책 이후 대출규제 강화와 규제지역 확대가 동시에 이뤄지면서 주택사업자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특히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되며 수도권 전반의 매수심리가 빠르게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주산연에 따르면 10·15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둔화되고, 분당·과천·광명 등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경기 주요 지역 역시 상승세가 축소되며 시장이 관망세로 전환됐다. 규제 시행 직전에는 ‘막차 수요’가 몰리며 단기 과열을 보였으나, 시행 이후 거래량이 급감했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대책 시행 후 열흘(10월 16~25일) 간 564건으로, 발표 전 동 기간(10월 6~15일) 2679건 대비 78.9% 감소했다.
비수도권에서는 광역시가 16.0포인트 하락한 73.8로 전망됐으며, 도 지역 또한 20.3포인트 하락해 60.7로 전망됐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장 회복 기대감이 형성되며 지수가 상승했던 지난달과 달리, 이번 달에는 10·15 대책의 영향으로 부동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방으로까지 확산된 모습이다.
주산연은 “수도권의 거래 위축이 비수도권 주택시장 전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며 “다만 10.15 대책의 규제 영향에서 벗어난 부산·울산 등 주요 광역시를 중심으로 회복 조짐이 일부 포착되고 있다. 수도권 규제 강화에 따른 반사이익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11월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전월대비 13.1포인트 하락한 73.4로 전망됐고, 자재수급지수는 3.2포인트 상승한 96.6으로 전망됐다. 주산연은 “자금조달지수는 10·15 대책으로 정비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수도권 청약시장도 위축되는 등 주택공급 및 분양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큰 폭 하락했다”며 “자재수급지수는 건설용 원자재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소폭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