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드오픈리서치 제공.)
현실 자산을 블록체인에서 토큰화한 실물연계자산(RWA)이 글로벌 금융의 '새 운영체제'로 자리잡는 가운데, 한국이 제도 정비와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미루면 향후 금융 질서에서 후발주자로 밀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웹3 벤처캐피털 해시드의 싱크탱크인 해시드오픈리서치(HOR)는 13일 발간한 'RWA와 스테이블코인이 바꾸는 금융 질서' 보고서에서 "RWA는 단순 투자 상품이 아니라 금융 시스템의 새 운영체제"라며 "한국이 제도 정비를 미루면 미래 금융 시대에서 설계자가 아닌 소비자로 전락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국채·부동산·신용거래·지식재산권 등을 토큰화한 RWA가 글로벌 금융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결제·정산, 예금·대출, 파생상품, 자산운용 등 대부분의 금융 기능이 온체인에서 구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토큰화 국채 머니마켓펀드(MMF) '비들(BUIDL)'을 통해 지난달 기준 29억 달러(약 4조 원) 이상의 운용자산(AUM)을 확보했다. 프랭클린템플턴도 미 국채 기반 토큰 '벤지(BENJI)'를 운용하고 있다.
JP모건과 페이팔, 스트라이프 등 글로벌 금융·결제 기업들 역시 자체 토큰화 자산과 스테이블코인, 온체인 결제 인프라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HOR은 "글로벌 RWA 시장이 실험 단계를 지나 기관 채택 단계로 본격 진입했다"며 "미래 금융에서 RWA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출발선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토큰증권(ST) 제도화가 추진 중이지만, 실제 시장은 소수 조각투자 중심에 머물러 글로벌 기관의 운용 규모와 격차가 크다는 설명이다.
특히 RWA의 결제의 핵심 수단이 될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지연되면서, 시장이 열리더라도 달러 기반 인프라에 종속될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HOR은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되면 원화 사용성 축소와 금융 주권 약화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RWA 시장을 선도하려면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관련 법·제도 정비 △기관·기업의 온체인 금융 참여 확대 등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신탁·수탁·보관·유통 등 자산운용 절차를 법적으로 명확히 하고, 커스터디·상장지수펀드(ETF) 등의 인프라를 마련해야 다양한 기관의 진입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온체인 금융에 대한 위험관리·회계·감사 체계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스마트컨트랙트 검증, 담보 관리, 시장 감시 체계 등을 도입하고, 온체인 자산에도 적용할 회계·감사 기준을 마련해야 제도권 금융기관이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HOR 관계자는 "정부·당국·산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민관 공동 실행 체계를 빠르게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hsn12@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