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위치도.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오는 27일 오후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서울코어’에 대한 기공식을 연다고 16일 밝혔다. 용산서울코어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도시 공간 대개조’의 핵심사업으로 이번 사업을 통해 서울을 ‘글로벌 탑5’ 도시로 올리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역~용산역~한강변’ 축을 하나로 연결하는 입체복합수직도시 비전을 실현하는 초대형 도시개발사업이다.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 45만 6099㎡를 개발하는 이번 사업은 2028년까지 부지조성공사를 끝내고 2030년 기업과 주민입주를 시작한다. 국제업무, 스마트산업, 주거·문화·여가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구역으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2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을 발표하고 행정절차를 속도감 있게 추진했다. 그 결과 오는 20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구역지정·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인가·고시’를 끝으로 착공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이번 실시계획인가·고시는 시와 사업시행자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구역 지정 이후 약 12개월 만에 완료했다. 이는 타 도시개발사업 평균 대비 약 20개월을 단축한 것이다.
서울시는 사업의 공익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공공기관인 코레일과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를 사업시행자로 선정했으며 이들이 도로·공원·문화시설·주차장 등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이후 민간이 개별필지를 개발하는 사업방식을 채택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 (사진=서울시 제공)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용도에 따라 △국제업무 △업무복합 △업무지원 등 3개의 지역으로 구성된다. 국제업무존의 경우 기존 용도지역 제3종일반주거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상향해 고밀복합개발을 유도한다. 국제업무존은 개발 구역 내 4개 획지 8만 2938㎡ 규모로 글로벌 헤드쿼터 유치를 위한 초고층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는 용산서울코어를 글로벌기업의 아시아·태평양 본부 집적지로 육성하기 위해 기업과의 협의 라운드를 준비하고 있다.
업무복합존은 총 8개 획지로 8만 1036㎡ 규모에 오피스를 비롯해 오피스텔, 리테일 등이 결합된 복합공간이 조성된다. 업무지원존은 5개 획지 9만 3723㎡에 주거·의료·교육시설 등이 입주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제업무와 문화생활, 주거와 녹지 공간이 수직적으로 융합된 구조로 업무·주거·여가·문화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활동이 한 건물이나 도보권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콤팩트 시티’를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도시계획 단계부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바람길과 일조 분석, 빛과 공기가 흐르는 블록 구조를 구성해 한강변으로 열린 녹지와 오픈스페이스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공공 공간 음영을 최소화하는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도시공간’을 조성한다. 실제로 전체 부지 대비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율은 41.8% 수준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투시도. (사진=서울시 제공)
신속한 주택공급도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르면 2027년 말 주택분양이 이뤄지도록 토지분양과 건축 인허가에 대한 행정지원을 발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시행자와의 협의로 내년 상반기 중 조성토지공급계획 승인을 마무리하고 건축인허가 절차를 적극 지원한다.
실제로 국제업무기능 유지와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주택공급 물량을 확대한다. 서울 도심 내 택지부족에 따른 주택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난해 11월 발표한 1만 3000호에 더해 가능한 물량을 면밀히 살펴볼 계획이다.
다만 개발계획 자체를 전면 재수립할 경우 사전 행정절차 이행 등으로 최소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해 기반시설 계획 자체는 전면 수정하지 않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속한 주택공급을 도모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광화문·여의도·강남 ‘서울 도심 3축’의 중심부에 위치한 서울 마지막 대규모 유휴지로 개발 완료시 글로벌기업 지역본부와 국제 인재가 집적되는 핵심 거점이 된다. 건설 기간 중 약 14만 6000명의 고용과 32조 60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발생하고 조성 이후 연간 1만 2000명의 고용과 연간 3조 3000억원의 생산 유발을 기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