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도시를 짓는다”…국토부, 18일 도시계획 국제세미나 개최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11월 17일, 오전 11:01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국토교통부가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응한 도시계획 혁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도시계획의 미래(AI for Planning and Design)’ 국제세미나를 연다고 17일 밝혔다.

AI와 함께하는 도시계획의 미래 국제 세미나 포스터. (사진=국토교통부)
한국프레스센터 20층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국토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주최하고 국토연구원이 주관한다.

오전에는 국토부가 국가 연구개발 사업으로 추진한 ‘빅데이터 기반 AI 도시계획 기술개발’ 성과발표회가 열린다. 해당 연구개발 사업은 2022년 4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188억원 규모로 진행 중이다. 국토연구원·서울시립대학교·한국건설연구원 등 15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오전 세션에서는 도시 진단, 계획 수립, 모니터링 등 도시기본계획 전 과정에 적용되는 AI 기술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발표 내용은 △AI 도시계획을 위한 데이터 인프라 및 표준화 방안(박진희 서울시립대 연구교수) △AI 기술을 활용한 도시계획 활용 모델(김동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도시계획 달성도를 실시간 파악하는 모니터링 체계 구축(권영상 서울대학교 교수) 등이다. 국토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국내 최초로 시도한 AI 기반 도시계획 기술의 적용사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어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하는 국제세미나가 오후부터 열린다. 해외 전문가들의 최신 동향 발표로 구성됐으며 마이클 배티 영국 런던대 석좌교수가 도시계획 분야에서 컴퓨터와 AI 기술의 흐름을 조망하며 기조연설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엘사 아카우테 영국 런던대 교수가 복잡계 과학 기반 도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트윈 활용 방안을 소개하며, 종런 펌 미국 플로리다대 교수는 AI 기술 발전과 함께 변화하는 미국 도시계획의 적용 동향을 발표할 방침이다.

국내에서는 김동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과 이희정 서울시립대 교수가 우리나라 도시계획 분야의 AI 도입 사례와 향후 정책 과제를 제시한다.

정우진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AI 기술 발전이 도시의 모습을 어떻게 변화시켜 나갈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리”라며 “향후 AI 인프라 구축과 혁신서비스 발굴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도시 선도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