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서울 집값 1.19% 급등…성동·마포 등 한강벨트 뛰어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11월 17일, 오후 02:00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10월 서울 집값 상승 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전후로 매수세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의 모습.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종합(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포함) 매매가격지수는 전달 대비 1.19% 상승했다. 전월 상승률(0.58%)보다 두 배 이상 확대된 수준이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수도권 소재 재건축 및 학군지 등 주요 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집중되고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주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에 대한 거래가 이어지며 오름세가 유지됐다는 분석이다.

9월에 이어 10월에도 집값 안정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10월 15일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서울 25개 자치구 전역과 경기 12곳으로 확대하는 초강력 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대책 발표 직전 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규제에 앞서 집을 사려는 ‘막차 수요’가 몰리며 급등 흐름이 나타났다.

앞서 수도권·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책’ 이후 6월 0.95%→7월 0.75%→8월 0.45%로 둔화했던 집값 상승 흐름은 지난달 0.58%에 이어 이번 달 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훌쩍 뛰어올랐다.

이에 따라 수도권 매매가격지수도 전달 0.22%에서 0.60%로 상승 폭을 키웠고, 전국도 0.29% 올라 전월 대비 올랐다. 반면 비수도권은 0.00%로 보합을 나타냈다.

서울 안에서는 성동구(3.01%)와 마포구(2.21%) 등 ‘한강벨트’ 오름 폭이 두드러졌다. 또한 송파구(2.93%), 강동구(2.28%), 양천구(2.16%) 등이 뒤를 이었다. 이어 광진구(1.93%), 용산구(1.75%), 영등포구(1.68%), 동작구(1.67%), 중구(1.67%) 순으로 오름 폭이 컸다.

비수도권은 지역별로 흐름이 엇갈렸다. 울산(0.28%), 세종(0.02%) 등은 선호 단지 중심으로 오름세가 나타났다. 반면 제주(-0.14%), 대구(-0.13%) 등은 하락 흐름을 보였다.

시도별 가격지수 변동률 통계표 등. (사진=한국부동산원)
전세가격도 상승 폭이 커졌다. 전국 전세가격지수는 0.18% 상승했고 수도권은 0.30%, 서울은 0.44% 올랐다. 비수도권도 0.07%로 오름세를 보였다.

서울은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이어졌고 신축·대단지 위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됐다. 송파구(1.33%), 서초구(0.95%), 강동구(0.89%) 등 강남권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컸고 용산구(0.62%), 성동구(0.53%), 마포구(0.47%) 등도 올랐다.

월세 가격 역시 오르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전국은 0.19%, 수도권은 0.30%, 서울은 0.5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송파구(1.57%), 용산구(0.89%), 양천구(0.78%), 강동구(0.77%) 성동구(0.58%), 마포구(0.54%) 등이 올랐다. 비수도권에서는 울산(0.27%), 광주(0.14%), 세종(0.65%) 등이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전·월세는 정주여건이 양호한 역세권·학군지 소재 단지를 중심으로 임차 문의가 꾸준하다”며 “서울의 경우 월세 수요 증가와 매물 부족이 겹치며 월세 가격이 오르는 흐름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