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 건물로 둘러싸인 선정릉. (사진=세운 재개발 구역 주민들 제공)
앞서 서울시가 종묘와 170m 가량 떨어진 세운4지구에 142m 가량의 고층 빌딩을 짓는 재개발 계획을 발표하자 중앙정부가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는 문화재 보존지역인 100m 밖에 있을 뿐만 아니라 종묘 맞은편에는 녹지 공간이 들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국가유산청은 세계문화유산 지정 취소까지 언급하며 강하게 대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세운4구역은 세계문화유산인 종묘 정전으로부터 무려 600m 이상 이격돼 있다”며 “선정릉은 약 500~600m 지점에는 초고층빌딩인 무역센터 빌딩이 있지만 문제가 없었다. 선정릉은 건축물 높이는 앙각 27도 이하로만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영국 런던 ‘런던타워’ 역시 약 400~500m 지점에 재개발이 이뤄졌으며 이곳의 건물 높이는 세운4구역 건물 높이보다 최대 3배 높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일본 동경 왕국 역시 왕궁 주변 고도 제한을 풀어 주변에 200~385m 가량의 빌딩군을 숲을 이루게 된다고 부연했다.
주민들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결정문에 따르면 종묘 정전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게 된 것은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왕실 사당의 독특한 건축양식과 전통 저례에 방점을 두고 있지 주변의 낙후된 환경을 유지하는데 방점이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더욱이 세운4구역은 종묘 정전에서 바라보면 잘 보이지도 않는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며 “남산을 바라보며 건축된 종묘 정전에서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다는 주 시야각 60도 밖에 위치해 잘 드러나지 않는데 유독 세운4구역만을 콕 집어 타겟으로해 맹목적 높이 규제를 20년 넘게 강제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1일 주민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재개발 지연으로 누적 채무만 7250억원에 달한다며 정부에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2006년 사업을 착수하고 2009년 세입자를 다 이주시켜 월세 수입마저 없고 사업이 지연돼 오히려 생활비를 대출받아 연명하는 극한적 상황에 처해 있다”며 “국가유산청 등의 부당한 행정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단호하게 손해배상 및 직권남용 등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