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철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 등 국토부 관계자와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 등 서울시 관계자들이 21일 열린 ‘부동산대책 제1차 실무협의회’에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10·15 대책 이후 규제지역 지정으로 인해 정비사업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전달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규제 완화 등 보완대책을 요구했다. 서울시는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정비사업 추진 과정에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실수요자들 역시 불편을 겪고 있다고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규제지역 및 토허구역 지정으로 인해 조합원 지위 양도 제한, 5년간 재당첨 제한 등 규제가 발생하며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에 차질이 큰 상황이다.
이와 함께 시는 법령·제도개선 18건과 민간임대주택 및 공공주택 공급 관련 4건의 안건도 추가로 정부에 건의했다.
국토부 역시 서울시의 요청에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날 김 장관은 “서울시에서 18개의 사안에 대해 국토부가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는데 80∼90% 이상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검토가 마무리되면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와 국토부는 이버너 실무회의를 시작으로 정기적 소통 채널을 가동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이달 말 2차 실무회의를 진행하는 등 만남을 지속할 예쩡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실무 채널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협조가 필요한 사안은 양 기관이 빠르게 소통하겠다”며 “주택공급 촉진을 위해 민간 공급 활성화와 함께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정부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