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사진=연합뉴스)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조사 기준 11월 10일)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대비 1.7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46%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18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은 결과다. 특히 이같은 상승폭은 2020년 9월(2.00%) 이후 5년 2개월 만 최고치이기도 하다.
지역별로 동작구(3.94%), 성동구(3.85%), 광진구(3.73%), 마포구(3.41%), 송파구(2.74%), 중구(2.70%), 강동구(2.35%) 등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급등했다. 여기에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서울에서 아파트 가격이 하락한 지역이 없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을 키우는 데 힘을 보탰다.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대출규제 강화와 규제지역 확대에 따른 2년 실거주 의무 적용 등 아파트 매물이 감소하고 매매거래도 위축됐지만, 억눌린 수요와 향후 가격 상승 기대감 등이 작용하며 소수 매매거래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가 성사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기는 전월대비 0.49% 상승하면서 6개월째 상승세를 이었다. 성남시 분당구(3.81%)와 수정구(2.91%), 광명시(2.36%), 하남시(2.18%), 과천시(2.00%), 용인시 수지구(1.87%), 안양시 동안구(1.50%), 성남시 중원구(1.44%)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줄곧 내림세를 보였던 인천은 0.02% 소폭 상승으로 돌아 전환한 가운데 미추홀구(0.09%), 부평구(0.08%), 남동구(0.04%), 연수구(0.03%), 동구(0.01%)가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28개월째 오름세를 이으며 11월 0.56%의 상승폭을 보였다. 지역별로 강동구(1.58%), 광진구(1.04%), 송파구(0.90%), 동작구(0.80%), 성북구(0.79%), 서초구(0.78%), 중구(0.64%)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경기와 인천 역시 각각 0.37%, 0.06% 상승세를 보였다.
한편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41%로 전월(0.28%) 대비 오름폭이 0.13%포인트 확대됐다. 또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29% 올라 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