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희 세운4 토건비리 주장에…市측 "가짜 의혹·프레임 좌시 안해"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11월 23일, 오후 06:26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서울시 세운4구역 재정비촉진사업을 두고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이 “민간업자만 배불리는 토건비리”라고 주장한 가운데,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가짜 의혹, 가짜 프레임에 기댄 공작정치를 중단하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서울 종묘와 세운4구역 모습.(사진=연합뉴스)


김 부시장은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 최고위원이 세운4구역 재정비촉진사업을 두고 ‘민간업자만 배불리는 토건비리’라고 주장한 건, 특정 진보 매체의 오보에 기댄 억지 공세일 뿐”이라고 밝혔다.

전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유네스코 문화유산 종묘의 등재 취소 위험까지 감수하며 초고층 개발을 강행한 진상을 반드시 규명해야 한다”며 “서울시 토건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 기관의 엄정 수사를 촉구한다”고 발언한 데 따른 대응에 나선 것.

앞서 한 매체가 보도한 세운4구역 재정비촉진사업 관련 ‘서울시와 특정기업 간 커넥션’ 의혹은 명백한 오보로, 이를 토대로 한 전 최구위원의 발언 또한 적절치 못하다는 게 김 부시장의 지적이다.

먼저 김 부시장은 “서울시는 2022년 4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내놨다. 그리고 세운지구 9개소를 포함한 도심부 전역 36개소에 대한 녹지 조성 계획을 확정했다”며, 앞선 매체가 지목한 기업의 토지 매입은 2022년 10월 이후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울시가 먼저였고 그 기업이 나중인데, 앞뒤가 바뀐 주장을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점에 유감을 표한다”며 “전 위원이 인용한 보도에 대해서는 현재 정정보도청구 및 법적조치를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시장은 이에 더해 “서울시는 세운4구역의 기반시설 부담률을 3%에서 16.5%로 5.5배 높여 개발이익 환수액을 184억원에서 2164억원으로 12배 늘렸다. 개발이익이 민간업자에게 돌아갈 여지를 차단한 조치”라며 “이로 인해 민간에 돌아갈 순이익은 112억원, 특정 기업 몫은 약 34억 원으로 민주당이 주장하는 ‘수천억 특혜’는 음모론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부시장은 더불어민주당의 이같은 공세와 관련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 ‘물타기’를 위한 것 아니냐는 날선 비판을 더했다. 그는 “세운4구역은 소수의 변호사와 전직 기자를 졸지에 재벌로 만든 대장동 비리와 성격부터 다르다. 결탁도, 사익 독식도 불가능한 구조”라며 “오히려 서울시의 장기 도시 전략인 ‘녹지생태 도심 재창조’를 완성할 공공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도 민주당은 적반하장격으로 세운4구역에 허위 프레임을 씌우고 있다. 대장동 항소 포기로 커진 국민 분노를 덮기 위한 ‘물타기 정치’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 이유”라고 꼬집었다.

전 위원에 대해서도 “전 위원은 지난 8월 서울시가 계엄에 동조했다는 황당한 주장을 하더니 이번에는 ‘아니면 말고’ 식의 특검을 주장한다”며 “가짜 의혹을 만들고, 가짜 프레임을 씌우고, 가짜 분노를 부추기는 방식이 집권여당 최고위원의 역할인가. 시정의 발목을 잡는 허위 보도는 물론이고, 이를 민주당이 재탕하는 일 역시 더는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