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TV 유은길 경제전문 기자] 세종 대통령집무실 건축을 위한 국제 공모와 국민 투표가 진행 중인 가운데, 세종 대통령집무실은 2030년, 국회 세종의사당은 2033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위한 핵심 개발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강주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은 “국회에서 ‘행정수도법’ 제정 등 법적 기반만 마련된다면, 명실상부한 수도로서 손색없는 세종 건설에 속도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청장은 21일 이데일리TV ‘어쨌든 경제’에 출연해 “세종시는 전국 어디에서나 접근하기 쉬운 도시를 목표로 광역교통망과 환승체계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다”며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도 수도 기능에 문제가 없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관련해 그는 “12월 발표할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국제공모 당선작을 토대로 입지·공간 구조·건축 콘셉트를 확정할 계획”이라며 “내년 상반기 설계공모 후 설계 착수, 공사 발주 등 대통령 임기 내 건립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경우에 대비해 즉각 대응할 체계를 준비하고 있다”며 “대통령 집무실의 모든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부지를 확보해 향후 확장 가능성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회 세종의사당에 대해서는 “국회사무처 국회세종의사당추진단이 사업방식과 규모를 결정해 건립을 추진한다”며 “행복청은 도시계획, 부지 매입, 도로 확장, 교통체계 개선, 이전 종사자 주거대책 마련 등을 지원해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협력 중”이라고 말했다.
강 청장은 “세종에 국회와 중앙부처가 함께 자리하면 정책 결정의 속도와 품질이 높아지고, 수도권 집중 완화·지역경제 활성화 등 국가 균형발전 효과도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의 연계는 입법과 행정이 결합된 실질적 행정수도 완성에 기여할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그는 “2012년 국무조정실과 국토교통부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43개 중앙행정기관이 행복도시 이전을 마쳐 행정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며 “현재 국회에서는 ‘행복도시법’ 개정을 통해 성평등가족부, 법무부를 이전 제외 대상에서 삭제하는 안을 논의 중이라 추가 이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행복청은 향후 법 개정 및 중앙행정기관 추가 이전 결정 시,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청사 추가 건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신규 청사는 행복도시 내 미사용 공공청사부지(10만㎡)나 미개발 생활권(6-1생활권 남측 등 50만㎡)을 활용해 수용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한편 강주엽 청장이 출연한 ‘어쨌든 경제’는 이데일리TV의 대표 경제 시사 프로그램으로, 유은길 경제전문기자(한성대 부동산대학원 교수)가 진행하며 매주 금요일 오후 4시 TV와 유튜브에서 생방송된다.
[사진='어쨌든 경제' 방송 캡쳐] 강주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사진 우측)이 21일 이데일리TV '어쨌든 경제' 방송에 출연해 유은길 경제전문기자(사진 좌측)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TV] 강주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사진 좌측)과 유은길 경제전문기자(사진 우측)가 11월 21일 '어쨌든 경제' 방송을 마치고 스튜디오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강 청장은 이 자리에서 "서울 집값은 세종 등 국토균형발전 추진을 통해 안정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