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보유한 유보지 등 ‘남은 땅’을 주택용지로 전환해 4100가구를 추가로 확보하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공급 속도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2026년 수도권 공공택지 공공분양 공급계획(안) (사진=국토교통부)
지역별 공급 물량은 △경기 2만 3800가구 △인천 3600가구 △서울 1300가구 등이다. 지난 9월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방안’ 당시 계획보다 2000가구 늘어난 규모다. 올해 공공 분양(2만 2000가구) 대비 32.2%, 최근 5년 평균(1만 2000가구) 대비로는 약 2.3배 증가했다.
◇ 3기 신도시 내년 3월 ‘마수걸이’ 분양
유형별로는 △3기 신도시 7500가구 △2기 신도시 7900가구 △중소택지 1만 3200가구 등이 배정됐다.
특히 3기 신도시가 내년 3월부터 본격적인 분양 레이스에 돌입한다. 3기 신도시 물량은 △고양창릉 3881가구 △남양주왕숙 1868가구 △인천계양 1290가구 등이다.
2기 신도시에서도 내년 10월 광교 600가구를 비롯해 평택고덕 5134가구, 화성동탄2 473가구 등이 분양을 앞뒀다. 중소택지 중에서는 유일한 서울 내 공공분양 지구인 고덕강일 1305가구가 내년 8월 분양에 나선다. 이 외에도 구리갈매역세권 287가구, 검암역세권 1190가구 등에서 공급이 이뤄진다. 정부는 이들 지역의 정주여건이 이미 갖춰져 있는 만큼 실수요자의 선택 폭이 넓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3월 분양의 실제 입주는 2029년 전후가 될 전망이다. 과거에는 착공 후 2년 6개월이면 입주가 가능했지만, 최근 안전 기준 강화 등으로 공사 기간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통상적인 공사 기간을 ‘착공 후 3년’으로 보고 있다.
공급 가뭄이 심각한 서울은 추가 물량 확보를 추진 중이다. 국토부는 서울 시내 미활용 학교 용지나 SH 사업지구 내 체육시설 부지 등을 주택용지로 전환하기 위해 관계 기관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남은 기간에도 막바지 공급은 이어진다. 국토부는 이달 중 남양주왕숙(881가구)과 군포대야미(1,003가구), 서울 마곡 지구 등에서 총 5100가구에 대한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낼 예정이다.
◇ 남는 LH 땅 바꿔 주택으로…4100가구 추가 공급
공공택지 재구조화를 통한 추가 공급도 속도를 낸다. 국토부는 9·7 대책에서 LH 직접시행 확대 일환으로 LH가 가진 비주택용지 용도와 기능을 정례적으로 심의해 주택용지로 전환하는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또 제도 도입 전 우선 물량으로 1만 5000가구 공급 계획도 수립했다.
LH는 이 중 28% 수준인 4100가구를 공급할 수 있는 계획 변경안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대상지는 △파주운정3(3200가구) △남양주왕숙(455가구) △수원당수(490가구) 등이다. 특히 수원당수 지구는 내년 즉시 착공이 가능하다. 국토부 설명에 따르면 해당 부지는 계획 수립 당시 용도를 특정하지 않고 남겨둔 유보지로, 상황 변화에 따라 용도를 전환해 공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9·7 대책을 통해 착공 중심의 관리체제로 전환한 성과가 가시화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공공주택 물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민이 선호하는 입지에 양질의 공공주택을 신속히 공급해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기회가 지속 확대될 수 있도록 주요 공공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