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와 네이버(035420)의 금융 계열사 네이버파이낸셜이 26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주식 교환을 공식화했다.
이날 양사는 각각 이사회를 개최해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을 논의했다.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고 두나무는 네이버의 손자회사가 되는 안이다.
초미의 관심사는 교환 비율.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의 주식 교환비율은 1:2.54로 정해졌다. 두나무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 2.54주로 교환된다.
이는 기업가치 비율과는 다르다.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기업가치 비율은 1:3.06으로, 두나무는 기존에 알려졌던 1:3과 비슷한 수준으로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단, 주식 교환비율은 양사 간 발행 주식 수 차이를 반영해 산정된다. 따라서 기업가치에 발행 주식 수를 고려해 1주당 교환가액을 산정한 결과 주식 교환비율은 1:2.54가 됐다.
이 비율에 따라 주식을 교환하면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네이버파이낸셜의 최대주주가 된다. 송 회장의 지분은 19.5%이며 네이버는 17%,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은 10%를 보유하게 된다.
단, 송 회장과 김 부회장은 네이버에 의결권을 위임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에 대한 지배적 지위를 유지하게 된다.
양사가 결합한 이후 상장과 관련해 가장 유력시되는 방안은 나스닥 상장 추진이다. 송 회장이 네이버에 본인의 최대주주 의결권을 위임한 만큼, 향후 네이버가 네이버파이낸셜의 지분 가치를 올리기 위해 나스닥 상장을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네이버가 이미 코스피 상장사라 네이버파이낸셜 또는 두나무가 국내에 상장하게 되면 '중복상장' 논란이 불가피한데 나스닥 상장 카드로 이같은 논란도 불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네이버는 웹툰엔터테인먼트를 나스닥에 상장시킨 이력이 있다.
hyun1@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