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사고' SKT 유영상 "유심 무상 교체…심려끼쳐 죄송"(종합)

IT/과학

뉴스1,

2025년 4월 25일, 오후 01:17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25일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를 열고 SK텔레콤 이용자 유심(USIM) 정보 해킹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4.25/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SK텔레콤(017670)에서 최근 발생한 유심 정보 탈취 사건에 대해 유영상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사과했다. SK텔레콤은 추가 고객 보호 조치를 위해 원하는 가입자들의 유심도 무상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유영상 CEO는 25일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사옥에서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를 개최하고 "SK텔레콤을 믿고 이용해 주신 고객 여러분과 사회에 큰 불편과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 숙였다. 사건이 발생한지 약 일주일 만이다.

유 CEO는 "고객의 소중한 정보를 보호해야 할 책무가 있는 국가 기간 통신사업자로서 이번 사고에 저를 비롯한 SK텔레콤 임직원 모두가 깊은 유감과 책임을 느낀다"며 "고객 피해 예방과 걱정을 하루 빨리 해소하기 위해 회사가 보유한 모든 서버와 시스템, 보안상태를 점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25일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를 열고 SK텔레콤 이용자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와 관련해 사과하고 있다. 2025.4.25/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이날 SK텔레콤은 SK텔레콤 가입자 및 SK텔레콤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중 원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SK텔레콤 가입자는 약 2300만 명이며 SK텔레콤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수도 187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 CEO는 "아직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불안을 느끼는 고객들을 위한 추가 조치"라며 "준비과정을 거쳐 오는 28일 월요일 오전 10시부터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유심 무료 교체는 전국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할 수 있다. 지난 18일 밤 12시 기준 가입자를 대상으로 1회 한정으로 제공되며 일부 구형 스마트워치 및 키즈폰은 제외된다. 시행 초기 사람이 몰려 당일 교체가 어려울 경우, 방문한 매장에서 예약 신청을 하면 추후 유심 교체도 가능하다.
지난 19일부터 27일 사이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사람에게도 소급돼 적용된다. SK텔레콤 측은 요금을 할인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환급할 계획이다.

다만 알뜰폰 가입자의 유심 무료 교체 시기 및 방법은 각 알뜰폰 업체에서 추후 공지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70세 이상 고객 중 장애인, 국가 유공자 및 시각 장애인 등 유통망을 찾아가거나 직접 가입이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에는 상담센터에서 전화를 걸어 이같은 보호조치도 안내할 계획이다.

SK텔레콤 임직원들이 25일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를 열고 SK텔레콤 이용자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와 관련해 기자들 질문을 받고 있다. 왼쪽부터 이종훈 Infra 전략본부장, 홍승태 고객가치혁신실장, 배병찬 MNO AT본부장, 윤재웅 마케팅전략본부장. 2025.4.25/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SK텔레콤은 해킹 사실이 알려진 당일 홈페이지를 통해 해킹 사실을 공지했다. 이후 고객들의 불만이 제기되자, 현재는 가입자 전원에게 해킹 사태와 관련해 대책 사항을 안내하는 문자를 순차적으로 고지하고 있다.

배병찬 SK텔레콤 MNO AT본부장은 "고객 안내 방법론을 많이 고민했다"며 "아직 피해규모나 유출정보, 피해자 등이 특정되지 않은 상황이기에, 법적 의무를 떠나 고객들에게 한꺼번에 문자로 통보했을 때 본인이 피해자라고 오해를 하실 수도 있는 상황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배 본부장은 "이틀전부터 1일 500만 건씩 고객들을 대상으로 유심 보호서비스 등 대책 사항을 문자를 통해 순차적으로 알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종훈 SK텔레콤 인프라전략본부장은 최근 제기된 신고 지연 문제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신고 관련해 지연이 있었던 건 맞다"면서도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신고에 필요한 최소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지연이 있었으며, 의도적이거나 고의적으로 신고를 지연할 생각은 없었다"라고 해명했다.

Kri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