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혁명속 대응방안은? 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4월 25일, 오후 06:15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인공지능(AI)의 급격한 발전 속 기술 혁신의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기술혁신학회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동에서 ‘AI혁명과 기술혁신의 길’을 주제로 ‘2025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기술혁신학회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관련 분야 전문가 약 150명이 참석했다.

학술대회 단체 사진.(사진=한국기술혁신학회)
이날 황병상 한국기술혁신학회장은 “AI 사피언스 시대로 이어지는 환경에 맞춰 AI 혁명과 기술혁신의 길로 학술대회 주제를 정했다”며 “우리나라가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변화에 대응하려면 혁신성장을 통해 기술혁신, 산업혁신, 사회혁신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개회사를 전했다.

기조 강연에서는 황종성 한국기능정보사회진흥원장은 ‘AI 선진국의 조건’에 대해 발표했다. 황 원장은 “AI가 가져올 변화속에서 생산외적 경제활동도 빠르게 AI로 대체되고 있다”며 “한국이 AI G3 도약, AI 경쟁력확보, 디지털 모범 국가를 실현하려면 발전단계에 따라 차별화전략이 필요하고, 이를 뒷받침하려면 AI의 다섯 가지 기본 요소가 충족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 전문가들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 성공모델 확립, 공공영역에서 AI 활용을 통한 혁신 촉진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양성광 기초과학지원연 원장은 “AI기술의 발전은 특정 기업이나 전문가의 몫이 아니라, 인프라 저변확대가 중요하며 우리의 최종 전략은 AI개발보다 활용의 혁신에 중점에 둬야 한다”며 “특히 출연연 역할이 중요하며 성공모델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태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은 “AI시장은 이미 레드오션으로 AI산업을 키우는 것이 중요한 것인지 아니면 AI기술로 기존 산업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지 생각해 봐야 한다”며 “조직에서 AI 활용을 극대화해야 하며, 공공영역에서 AI활용을 통해 AI혁신 촉진을 이끌어가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