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기획위원회 제공)/뉴스1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인공지능(AI) 인프라의 핵심인 데이터센터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데이터센터를 '차세대 국가 사회간접자본(SOC)'으로 인식하겠다고 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AI 태스크포스(TF)와 규제합리화 TF는 지난 2일 오후 5시 삼성SDS 상암 데이터센터를 방문해 데이터센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TF 위원들은 △삼성SDS(이호준 부사장, 배한욱 팀장) △카카오(김병학 성과리더) △나연묵 단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강중협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장 등 민간 전문가들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합리화 방안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업계 관계자들은 "전력계통영향평가 제도의 운영미숙과 인허가 지연 문제 등으로 데이터센터 건설이 어렵다"며 "데이터센터의 가장 큰 난제인 전력 확보를 위해 관련 규제를 기업 현실에 맞게 합리적으로 개선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데이터센터 건설 특구 지정 △데이터센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 제정 △범정부 컨트롤타워구축 등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송경희 국정기획위원회 AI TF팀장은 "그래픽처리장치(GPU) 및 AI 데이터센터를 차세대 국가 SOC로 인식하고, 국가적 투자 강화, 민간 투자 세액공제 확대 등 공약에 포함된 사항을 국정과제로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오기형 국정기획위원회 규제합리화 TF팀장은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투자계획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토대로 비용·효과 분석을 거쳐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정기획위원회 위원들은 간담회에 앞서 삼성SDS 상암 데이터센터시설을 둘러보고 고성능 GPU 서버, 대규모 데이터 저장 장치, 전력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 등 데이터센터 핵심 인프라 운영 현황도 살펴봤다.
Kri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