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국내 AI 도입 확산세… 새 규제가 성장세 변수”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7월 04일, 오후 05:07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는 4일,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디지털 인재 부족, 규제 불확실성, 법제화 인지도 부족이 성장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AWS가 영국 리서치 기관 스트랜드 파트너스(Strand Partners)에 의뢰해 진행한 ‘한국의 AI 잠재력 실현(Unlocking South Korea’s AI Potential)’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다. 조사는 국내 기업 1000곳과 일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AI는 도입했지만 준비는 미흡… “절반은 AI 기본법도 몰라”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기업의 48%가 이미 AI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0% 증가한 수치다.

AI를 도입한 기업은 주당 평균 13시간의 업무 시간 절감과 21%의 매출 증가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자사 AI 역량에 자신감을 보인 기업은 30%에 불과했으며, 43%는 ‘디지털 인재 부족’을 가장 큰 장애물로 꼽았다.

특히 AI 기본법에 대한 인지율은 51%, 법률의 실질적 영향까지 이해한 기업은 29%에 그쳤다.

규제 부담 역시 심각한 문제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기술 예산의 평균 23%를 규제 준수 비용으로 지출하고 있으며, 절반은 향후 해당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AI 양극화 현실화… “스타트업이 대기업보다 혁신 앞서”

AI 활용 수준에서도 격차가 뚜렷했다. 기업의 70%는 일정 관리나 루틴 업무 자동화 등 기초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AI를 제품 개발·전략 설계 등에 통합한 기업은 11%에 불과했다.

특히 스타트업의 21%는 AI 기반 신제품을 개발 중인 반면, 대기업은 10%에 그쳤다. 이는 한국이 ‘양극화된 AI 경제(two-tier AI economy)’로 갈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AWS는 분석했다.

AI 공급자 선택에서는 44%가 국산·해외 솔루션을 병행, 29%는 해외 솔루션만, 24%는 국산 솔루션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90%는 “공급자 선택권이 AI 전략에서 핵심 요소”라고 응답했다.

규제·인재·공공 디지털 전환… “AI 확산 위한 3대 과제”

AWS는 한국의 AI 확산을 위해 △예측 가능한 규제 환경 조성 △업종 맞춤형 디지털 인재 양성 투자 확대 △보건·교육 등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제안했다.

AWS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총 7조 8,500억 원을 국내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약 15조 원의 경제 효과와 연평균 1만 2300개의 정규직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AWS는 SK그룹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울산에 ‘AWS AI 존(AWS AI Zone)’을 구축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초고속 AI 훈련용 인프라, Amazon SageMaker·Bedrock·Q 등 다양한 개발 툴이 집약될 예정이다.

또한 AWS는 2017년 이후 ‘스킬 빌더’, ‘에듀케이트’, ‘리스타트’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국내에서 약 30만 명의 클라우드·AI 인재를 양성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교육 수료자는 국내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채용 연계 기회도 제공받고 있다고 했다.

함기호 AWS 코리아 대표는 “한국은 빠르게 AI를 도입하며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기술 인프라, 인재 양성, 규제 명확화 없이는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AWS는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와 교육을 통해 한국이 AI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