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을 목표로 1793억 원을 추가 투입, 총 2조 8000억 원 가량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예산이 확정됐다.
4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총 1793억 원의 AI 분야 등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의결됐다.
추경은 경기부양을 위한 AI 전환과 국민 체감도에 초점을 맞췄다. 우리 산업과 공공서비스를 혁신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656억 원이 더해진 779억 원 예산으로 공공·의료·제조 분야 'AI 대전환'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공공부문에 AI를 접목하는 '공공AX 프로젝트’(150억 원) △AI 기반 의료 예후관리서비스 개발(63억 원) △제조업의 기술고도화를 위한 AX실증 플랫폼 구축(140억 원) △피지컬 AI 핵심기술 개념 증명(POC)(426억 원) 등을 지원한다.
공공AX 프로젝트는 AI 수요 부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이 설루션을 개발·실증하는 방식이다. 결과물은 추후 수요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도입·확산할 예정이다.
움직이는 AI인 피지컬 AI는 현재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는 만큼, 원천기술을 조속히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현실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모델 설계 등 기반 조성을 지원한다.
AI의 산업화·사업화 확대를 위한 투자도 강화한다.
AI혁신펀드는1차 추경을 거친 1000억 원에 500억 원을 추가, 1500억 원을 정부가 지원한다. 민간 매칭을 더해 총 3000억 원 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다. 민간 투자를 유도해 AI 유망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NPU 등 국산 AI반도체 역시 조기 상용화 지원에 힘쓴다. 1차 추경 494억 원에 더해 이번 추경에서 발굴한 추가 수요를 사업에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300억 원을 들여 최신 AI모델과의 호환성 확대, 고비용 설계 지식재산권(IP) 활용 등 제품 고도화를 지원한다. 기업들의 수요처 확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보호의 강화, 청년·취약 계층의 AI역량 제고 등도 지원한다.
총 86억 9000만 원을 들여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고위험 산업군 대상 정보보호관리체계 특화 인증항목도 개발한다. 국가 중요시설 등의 보호·점검 수준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또 50억 원을 투입, 신속한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대응을 위한 생성형 AI 기반 침해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대규모 인터넷 장애 방지를 위한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RPKI) 구축에는 30억 원을 지원한다.
국민 누구나 AI를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 단위의 'AI디지털배움터'(가칭)를 구축하고(66억 원), 청년 대상 맞춤형 AI·SW 교육을 확대(34억 원)함으로써 디지털 포용사회도 실현할 계획이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