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정통부는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AI와 디지털기술을 활용해 자연재난을 효과적으로 예방·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AI는 사전에 축적된 재난 데이터와 국토 지리 정보 등을 고려해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하거나, 재난이 발생한 상황에서도 피해 범위와 확산 속도 등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예측해 추가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간담회에서는 자연 재난 대응을 위해 AI가 개발되는 단계에서부터 실제 재난대응 현장에 적용되기까지 민간 기업과 수요 기관들이 직접 겪은 사례를 공유하고, 자연재난 대응에서 AI 활용이 확대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기후변화로 자연재난 예측이 어려워지고 피해 규모가 커지는 상황에서 기존 대응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열쇠로 AI 잠재력에 주목할 때”라며 “AI가 자연재난으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역할을 하도록 자연재난 대응에 AI·디지털 기술 활용이 활성화되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