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필수 인프라 6G, 정부 적극 지원해야"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8월 19일, 오후 07:07

[이데일리 안유리 기자] “삼성전자도 겨우 해나가는 상황으로 작은 기업은 더욱 힘듭니다. 6G 네트워크 인프라가 상용화돼서 우리나라 생태계가 다시 살아났으면 좋겠습니다.”

19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6G·AI 네트워크 정책 토론회’가 진행 중이다. (사진=안유리 기자)
최성현 삼성전자 부사장은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6G·AI 정책 토론회’에서 현재 통신 장비 업계의 어려움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황정아·이훈기·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정훈·박충권·최수진 국민의힘 의원,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 주최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인공지능(AI) 시대 네트워크 인프라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AI 시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6G 네트워크 인프라가 필수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장경희 6G포럼 집행위원장은 “네트워크 AI 서비스는 닭과 달걀의 관계다”라며 “네트워크의 활성화 없이 AI 서비스의 활성화를 바란다는 건 소위 말하면 도로가 없는데 자율주행차를 운행하려는 노력과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6G 시대를 향한 AI NW 진화 방향 발제를 맡은 최성호 정보통신기획평가원 6G 사업단장/PM은 “기지국이 현재 5G에서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기지국으로 변화하며 오픈랜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여기에 AI를 접목해 AI랜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픈랜은 다양한 제조사의 무선통신 장비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 개방형 무선 접속망기술을 말한다. 기존 기지국은 특정 업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독점 구조였지만, 오픈랜은 이를 분리하고 표준 인터페이스를 적용한다.

이에 더해 AI 랜은 AI 네이티브 설계를 통해 자동화·최적화된 네트워크 인프라를 제공한다. 6G 시대에는 이러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소에서 데이터를 바로 처리하는 분산 컴퓨팅 기법인 엣지컴퓨팅까지 가능할 전망이다.

최성호 PM은 “AI 기지국에 대해서 가장 앞서가고 있는 게 일본의 소프트뱅크”라면서 “세계 각국이 자기 나라에서 상용화를 시키고 실증을 하고 있는데 이게 상용화가 되면 전 세계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비즈니스까지 생각하고 있어서 우리나라도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5G는 인프라 구축은 완료됐으나 킬러 콘텐츠 부재로 서비스 체감이 낮은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6G와 AI 융합으로 자율주행, 원격수술, AI 글래스 등 새로운 서비스가 활성화되길 기대하고 있다. 고도화 되는 사이버 위협 대응을 위해서도 네트워크 인프라가 뒷받침 되어야한다.

이종식 KT 전무는 “보안과 관련해서 양자 컴퓨팅을 통해 해커들이 고도화된 공격을 하면 네트워크를 잘 방어하더라도 침해 우려가 있다”라며 “AI 양자컴 기술 활용해 창과 방패의 싸움처럼 방어해야 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서울역과 김포공항에 5G 특화망 오픈랜 및 AI랜 실증망을 검증할 계획이다. 산업계에서는 한발 더 나아가 정부의 적극적인 6G 네트워크 인프라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동구 오픈랜 인더스트리 얼라이언스(ORIA) 집행위원장은 “통신사업자가 새로운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의 R&D 정책이나 전폭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성호 PM은 “중국 화웨이,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엔비디아 등 선도적 기술 보유하고 있는데, 이들을 이기려면 도전적, 혁신적인 투자와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