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정부과천청사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에서 관계자들이 방송통신위원회 현판을 철거한 뒤 옮기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방미통위는 정무직 공무원의 승계를 제외하면서 현재 위원장, 부위원장, 사무처장이 모두 공석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초대 방미통위원장으로 누구를 선임할 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전체적인 조직도 확대됐다. 방미통위 사무처는 4국 3관 22과 4팀 1사무소, 총 316명 정원으로 꾸려졌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인터넷·케이블TV 인허가, 뉴미디어·디지털 방송정책 관련 조직(1국 3과 33명)이 이관돼 ‘방송미디어진흥국’이 신설됐다. 이 과정에서 강도성 전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이 국장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이항재 방송진흥기획과장, 강동완 뉴미디어정책과장, 어정욱 디지털방송정책과장, 김새별 OTT활성화지원팀장 등 실무진도 함께 전입했다.
방미통위는 규제와 진흥을 균형 있게 추진하는 한편, 플랫폼 경쟁 규율과 콘텐츠 제작 지원의 조화를 핵심 과제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방미통위 출범으로 자리를 잃은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은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법에 대해 자신의 헌법상 권리를 침해했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하고 효력 정지를 위한 가처분을 신청했다. 이 위원장은 내년 8월까지 법적으로 보장된 자신의 임기가 단축됐다며 평등권과 행복추구권, 공무담임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