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서울의 KT 대리점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 2025.9.10/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최근 KT(030200) 무단 소액결제 사태를 두고 회사가 발표한 362명 피해자 통계가 경찰 조사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 시점·장소·금액 등을 교차 분석해보니 최소 19명의 추가 피해자가 있을 것으로 확인됐다.
회사가 조사 범위로 한정한 4개의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 ID 이외에도 추가 기지국이 있을 거란 주장도 나온다.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T와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교차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경찰청이 파악한 피해자 214명(지난달 23일 기준) 중 19명의 피해자는 KT 전수조사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였던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황 의원은 KT와 경찰청 각자가 추려낸 피해 내역에서 △결제 일시 △통신이 이뤄진 장소 △피해액 등을 요소별로 나눠 교차 검증했다.
예를 들어 KT는 ARS 전수조사를 거쳐 8월 6일 서울 동작구에서 4번의 피해 시점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찰이 파악한 한 피해자는 해당 시간대가 아닌 오후 2시 6분에 49만 5000원의 소액결제 피해를 입었다.
또 경찰 조사에서는 8월 26일 3시 18분에 소액결제 피해를 본 사람이 있었다. 이 피해자 역시 KT의 조사에서는 파악되지 않았다.
황정아 의원은 이런 방식으로 총 19명의 추가 피해자를 발견했다는 설명이다. 이마저도 금액이 유사하면 결제 시간이 일부 차이나더라도 집계에서 제외하는 등 최대한 보수적으로 분석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특히 회사가 피해가 없다고 밝힌 시간대에도 실제 피해자가 다수 있는 점을 보면, 회사가 파악 못한 불법 기지국 ID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황 의원은 의심한다.
황 의원은 "경찰 집계와 비교해보면 회사는 특정 시간대의 피해 상황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추가 불법 기지국 ID가 아니라면 이렇게 시간대 자체가 완전히 누락되기 어려워 보인다"고 꼬집었다.
KT는 고객 민원(VOC)과 ARS로 파악된 4개의 불법 기지국 ID를 기준으로만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추가 불법 기지국이 있는 게 맞다면 진상 규명에 구멍이 생길 수 밖에 없다는 게 황 의원의 주장이다.
황 의원은 "KT가 파악하지 못한 피해자들은 카카오톡·네이버의 로그아웃·본인인증 등을 경험했다고 경찰에 알리는 상황"이라며 "회사의 ARS 위주 조사방식이 결국 피해를 축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