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 이후 28일 저녁부터 온라인 접수가 가능해졌고, 연장된 기간 동안 국민 불이익 없이 사업자들이 신청을 마쳤다는 설명이다.
방미통위는 올해 1월 ‘2025년 개인위치정보사업 등록 적정성 검토 계획’을 공표한 바 있으며, 이번 신청분 역시 계획에 따라 심사 절차가 이어진다.
방미통위는 위치정보사업 접수 외에도 △통신분쟁조정위원회 △온라인피해365센터 △불법스팸 대응센터 등 서비스가 평시와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당 시스템은 별도로 구축돼 있어 온라인·전화·우편을 통한 분쟁조정·피해상담, 불법스팸 신고가 모두 가능하다.
특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상황을 틈타 개인정보나 금융정보 탈취를 노린 불법스팸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민들에게 각종 신고 창구를 적극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복구 완료 서비스 전체 (행정안전부 10월 3일 08:00 기준)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3일 오전 8시 현재 전체 647개 장애 시스템 중 115개 시스템이 재가동됐다.
△ 행안부 모바일신분증(DR, 발급 불가)
△ 행안부 정부디렉터리(내부)
△ 행안부 문서유통시스템
△ 행안부 복합인증시스템
△ 행안부 정부암호이용시스템
△ 행안부 모바일메시지시스템
△ 행안부 GIS기반통합시스템(대민)
△ 행안부 GIS기반통합시스템(행정)
△ 국무조정실 국정관리시스템
△ 기재부 디브레인
△ 기후에너지부 배출권등록시스템
△ 기후에너지부 상쇄등록부시스템
△ 기후에너지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관세청 대표홈페이지
△ 관세청 내부정보통합
△ 관세청 국회답변
△ 국가데이터처 통계데이터센터
△ 과기정통부 학사행정
△ 과기정통부 우체국금융-인터넷예금
△ 과기정통부 우체국금융-스마트예금
△ 과기정통부 우체국금융-금융상품몰
△ 과기정통부 우체국금융-인터넷보험
△ 과기정통부 우체국금융-스마트보험
△ 복지부 보건의료빅데이터시스템
△ 복지부 노인맞춤형돌봄시스템
△ 복지부 취약노인지원시스템
△ 해수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 해수부 해양안전종합정보
△ 금융위원회 FIU 심사분석
△ 금융위원회 FIU 홈페이지
△ 소방청 119다매체신고시스템(경찰문자서비스 제외)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부분복구)
△ 기후에너지부 온실가스인벤토리
△ 행안부 디지털원패스시스템
△ 행안부 전자문서진본확인시스템(외부)
△ 관세청 빅데이터포털(외부)
△ 관세청 빅데이터(내부)
△ 과기정통부 인터넷 FC 영업지원
△ 복지부 유니모포털
△ 행안부 전자문서진본확인시스템(내부)
△ 행안부 행정전자서명인증센터(외부)
△ 행안부 행정전자서명인증센터(내부)
△ 행안부 정부디렉터리(외부)
△ 문체부 공직자통합메일시스템
△ 문체부 모바일공직자통합메일시스템
△ 행안부 정부24
△ 행안부 새주소안내시스템
△ 감사원 OASYS
△ 복지부 사회복지공제회
△ 행안부 공공서비스통합관리시스템(외부)
△ 행안부 공공서비스통합관리시스템(내부)
△ 행안부 주민등록시스템
△ 과기정통부 우편물류(내부포털)
△ 과기정통부 우편물류(내부포털DW)
△ 과기정통부 계약고객전용시스템
△ 과기정통부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 과기정통부 인터넷우체국(EMS)
△ 과기정통부 인터넷우체국(메인)
△ 과기정통부 인터넷우체국(모바일)
△ 과기정통부 인터넷우체국(우편서비스)
△ 과기정통부 인터넷우체국(우표포털영문)
△ 조달청 나라장터(대금결제) DR 운영
△ 행안부 기록관리교육훈련
△ 행안부 강제동원자명부
△ 복지부 복지로
△ 복지부 모바일복지로
△ 복지부 사회보장정보 자료등록포털
△ 복지부 사회보장정보 통합업무
△ 복지부 사회보장정보 포털
△ 복지부 사회서비스정보 통합업무
△ 복지부 사회서비스 포털
△ 과기정통부 우편물류(내부포털)
△ 과기정통부 인터넷우체국(우표포털 국문)
△ 행안부 방문자관리 신청(외부)
△ 행안부 방문자관리 신청(내부)
△ 국가데이터처 통계분류포털
△ 국가데이터처 나라통계2.0(대민)
△ 국가데이터처 나라통계2.0(내부)
△ 국가데이터처 데이터융복합관리체계
△ 금융위원회 FIU보고
△ 금융위원회 FIU정보제공
△ 복지부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 감사원 감사자료제출
△ 조달청 하도급지킴이(대민)
△ 조달청 하도급지킴이(업무)
△ 국가데이터처 나라통계(인터넷망)
△ 국가데이터처 나라통계(업무망)
△ 국가데이터처 기본통계관리2.0
△ 국가데이터처 사망원인선정시스템
△ 행안부 행정전자서명인증센터(GPKI)-교육부 게이트웨이
△ 행안부 통합재난문자시스템(인터넷)
△ 행안부 통합재난문자시스템(업무망)
△ 소방청 119 이동전화 수동조회
△ 행안부 행정도서관
△ 행안부 하모니시스템(업무)
△ 국가데이터처 2020 e-Census 인구총조사(endims)
△ 국가데이터처 2020 e-Census 인구총조사(ims)
△ 국가데이터처 2020 e-Census 농림어업총조사(ims)
△ 국가데이터처 2025 기준 경제조사 통합관리(업무망)
△ 문체부 한국문화원 기관홈페이지
△ 문체부 한국문화원 다국어포털시스템
△ 소방청 119안전신고(인터넷)
△ 행안부 국가기록포털
△ 국가데이터처 통계기준 통합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Census 통합 거버넌스
△ 국가데이터처 통계빅데이터센터
△ 국가데이터처 연구종합관리
△ 국가데이터처 서비스요청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행정자료통합관리
△ 국가데이터처 경제총조사
△ 과기정통부 연구원 전자민원센터
△ 과기정통부 연구원 방송통신통합 전자민원
△ 국가데이터처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대민)
△ 국가데이터처 인구주택총조사(대민)
△ 국가데이터처 GIS 기반 통계조사 지원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