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실태조사는 최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계기로 실시하는 것이다. 이달 24일까지 전국 270여개 대학 연구실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UPS는 정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연구장비 등에 부착해 사용된다. 정보기술(IT) 설비 등을 대규모로 갖추고 서비스의 끊김 없는 제공을 보장해야 하는 데이터센터 등 시설에도 UPS가 쓰인다.
과기정통부는 각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UPS 배터리 종류(납축전지·리튬이온배터리 등)와 사용기간 경과 여부, 외관 손상 등 배터리 이상 유무를 자체 점검하고 그 결과를 제출하도록 하게 할 예정이다. 점검 과정에서 노후됐거나 이상 징후가 발견된 배터리는 즉시 교체하도록 지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배터리 관리 실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기관이나 자체적으로 이상 배터리를 교체·조치하지 못한 기관을 중심으로 오는 11월까지 현장점검을 추가 실시한다.
현장점검에서는 UPS와 배터리의 관리 실태, 교체 주기 준수 여부, 보관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해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다.
홍순정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배터리는 연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관리가 소홀할 경우 화재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연구기관이 스스로 배터리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도록 하고, 안전한 연구환경 조성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