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총 368명·777건…"서버 의도적 폐기 아냐"

IT/과학

뉴스1,

2025년 10월 17일, 오후 12:50

서창석 KT 네트워크 부문 부사장이 17일 서울 광화문 KT광화문빌딩에서 KT 소액결제 피해 추가 발생 및 개인정보 유출 피해 관련 전수 조사 결과 브리핑을 하기에 앞서 사과하고 있다. 2025.10.17/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KT(030200)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관련해 피해자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ID도 추가 확인됐다. 13개월치 조 단위 데이터를 전수 조사한 결과다.

KT는 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사태와 관련한 3차 언론 브리핑을 열고 소액결제 피해 고객이 기존 362명에서 6명이 늘어난 368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13개월치 조 단위 데이터 전수조사…불법 기지국 ID 16개 추가 확인
추가 피해자 6명의 피해 금액은 총 319만 원(총 피해금액 약 2억 4000만원)이다.

확인된 결제 건수는 기존 764건에서 13건 늘어나 총 777건으로 파악됐다. 여기에는 SMS 결제건수 63건도 포함됐다. 경찰이 파악한 피해자 중 일부가 KT 전수조사에서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라는 주장과 관련해선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경찰은 지난 13일 기준 220명으로 집계했다.

불법 펨토셀 ID는 기존 4개에서 16개가 추가로 발견돼 총 20개로 확인됐다. 해당 펨토셀 ID 접속 이력이 있는 고객은 2197명이 추가로 파악돼, 전체 개인정보 유출 정황 고객은 2만 2227명으로 집계됐다.

추가로 확인된 펨토셀 ID 16개 중 1개에서 무단 소액결제 의심 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은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한 9월 5일 이후에는 새로운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점도 재차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결과는 전체 분석 기간을 늘리고 결제 유형 범위를 넓히면서 나왔다. 기존 6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약 3개월 치 데이터와, 소액결제 2200만 건을 놓고 분석한 데서 13개월치 전체 휴대폰-기지국 접속 기록 약 4조 300억 건으로 전수 조사 범위를 확대했다.

KT는 지난해 8월 1일부터 올해 9월 10일까지 이뤄진 통신과금대행 결제 내역 약 1억 5000만 건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소액결제 8400만 건과 DCB 결제 6300만 건이 모두 포함됐으며, ARS뿐 아니라 SMS·패스(PASS) 인증 결제까지 전수 조사에 포함됐다.

2만여명 피해 보호 집중…"위약금 면제는 합동조사단 결과 나와야"
KT 측은 "대규모 전수조사로 시간이 다소 소요된 점을 사과드린다"며 "정부 조사와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고, 재발 방지와 고객 보호에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위약금 면제 대상과 범위와 관련해선 말을 아꼈다.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상무)은 "위약금 면제는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고객 피해 상황을 검토해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유심 교체 및 유심 보호 서비스 지원의 경우 개인정보 유출 정황이 있는 2만 2227명을 대상으로만 이뤄진다.

서창석 KT 네트워크 부문 부사장(왼쪽부터), 구재형 네트워크 기술 본부장, 김영걸 서비스 Product 본부장, 이세정 Decision intelligence LAB장이 17일 서울 광화문 KT광화문빌딩에서 KT 소액결제 피해 추가 발생 및 개인정보 유출 피해 관련 전수 조사 결과 브리핑을 마친 후 사과하고 있다. © News1 김성진 기자

서버 폐기 의혹에 대해선 "경찰 조사 협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국정감사 업무 보고를 통해 KT 측이 허위 자료 제출 및 증거은닉 등 정부 조사를 방해했다며 지난 2일 경찰에 수사 의뢰를 했다고 밝혔다. 현재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가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이와 관련해 KT는 서버 폐기 의도가 없었다면서도 경찰 조사에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

Ktiger@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