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업무시스템 온나라 해킹 확인…국정원 “긴급 보안 조치”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10월 17일, 오후 02:28

[이데일리 권하영 기자] 국가정보원이 미상 해커의 온나라시스템 행정망 무단접속 및 자료 열람 사실을 확인했다.

(사진=국정원)
국정원은 지난 7월 온나라시스템 등 공공·민간분야 해킹 첩보를 사전에 입수해 행정안전부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 해킹 사실을 확인하고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한 대응에 나섰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8월 8일 미국 해커 잡지 ‘프랙(Phrack)’에서 해킹 정황을 공개한 것보다 한 달 앞선 대응조치다.

해커는 다양한 경로로 공무원들의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패스워드 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인증체계를 면밀히 분석한 뒤 합법적 사용자로 위장해 행정망에 접근했다.

이후 인증서 6개 및 국내외 IP 6개를 이용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행안부가 재택근무를 위해 사용하는 원격접속시스템(G-VPN)을 통과했다.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해 자료를 열람했다.

국정원은 대응과정에서 해커가 일부 부처가 자체 운영 중인 전용 시스템에도 접근한 사실을 추가 확인해 조사 중이다.

점검 결과 정부 원격접속시스템에 본인확인 등 인증체계가 미흡했다. 온나라시스템의 인증 로직이 노출되면서 복수기관에 접속이 가능했고 각 부처 전용 서버에 대한 접근통제가 미비한 것이 사고원인으로 드러났다.

국정원은 해커가 악용한 6개 IP주소를 전 국가·공공기관에 전파·차단하는 등 해커의 접근을 막는 긴급 보안조치를 단행했다.

이와 함께 △정부 원격접속시스템 접속 시 자동응답시스템(ARS) 등 2차 인증 적용 △온나라시스템 접속 인증 로직 변경 △해킹에 악용된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 폐기 △피싱사이트 접속 추정 공직자 이메일 비밀번호 변경 △각 부처 서버 접근통제 강화 △소스코드 취약점 수정 등의 조치를 통해 추가 해킹 가능성을 차단했다.

‘프랙’은 이번 해킹을 자행한 배후로 북한 ‘김수키’ 조직을 지목했다. 국정원은 금번 해킹에서 확인된 해커 악용 IP주소 6종의 과거 사고 이력, GPKI 인증서 절취 사례 및 공격방식·대상의 유사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중이지만 현재까지 해킹소행 주체를 단정할만한 기술적 증거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다만 해커가 한글을 중국어로 번역한 기록, 대만 해킹을 시도한 정황 등이 확인됐다. 국정원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해외 정보협력기관 및 국내외 유수 보안업체와 협력해 공격 배후를 추적하고 있다.

현재 해커가 온나라시스템 등 정부 행정망에서 열람한 구체적 자료내용 및 규모를 파악 중이다.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결과를 국회 등에 보고할 예정이다. 행안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인증체계 강화·정보보안제품 도입 확대 등 보안강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김창섭 국정원 3차장은 “온나라시스템 등 정부 행정망은 국민의 생활과 행정서비스의 근간인 만큼, 진행 중인 조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범정부 후속대책을 마련해 이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