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고팍스 측과 투자 협의에 돌입했으며, 주요 주주로 참여하는 방안이 조율 단계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양측이 기본 합의에 이른 상태로 세부 구조만 조정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협의는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지난 15일 바이낸스의 외국인 임원 변경 신고를 최종 수리한 데 따른 후속 절차다. 케이뱅크가 투자자로 참여할 경우, 고팍스는 바이낸스의 글로벌 유동성과 시중은행 기반 금융 인프라를 함께 확보하게 되면서 시장 경쟁력이 빠르게 강화될 전망이다.

(자료=고팍스, 케이뱅크)
고팍스가 바이낸스의 초저수수료(0.01%) 정책과 글로벌 오더북을 도입할 경우, 해외 유동성을 활용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해지며 점유율 반등이 기대된다.
여기에 케이뱅크의 참여가 현실화되면 입출금채널·AML(자금세탁방지)·KYC(고객확인제도) 등 규제 기반 서비스 신뢰도도 강화될 수 있다.
향후 ‘1거래소 1은행’ 규제가 완화될 경우, 케이뱅크-고팍스 실명계좌 제휴로 확장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현재 고팍스의 주요 투자자는 2023년 지분 67.45%를 인수한 바이낸스를 비롯해 KB인베스트먼트 등이다. 실명계좌 제휴는 전북은행과 체결돼 있다.
케이뱅크는 앞서 업비트와의 실명계좌 제휴를 통해 대규모 신규 고객 유입 효과를 경험한 바 있다. 특히 최근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지난달 네이버의 금융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에 편입되며 사업 영역 확장을 시도하고 있는 만큼, 케이뱅크 역시 전략적 대응 차원에서 추가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고팍스와 케이뱅크 측은 투자 관련 협의 여부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해당 사안은 검토한 바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편 고팍스는 2022년 글로벌 거래소 FTX 파산의 여파로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 ‘고파이’ 출금이 중단되면서 투자자 피해 논란을 겪은 바 있다. 바이낸스는 지난해 피해자 보상을 약속하며 고팍스 인수를 추진했지만, 대주주 적격성 심사 등이 지연되면서 승인 절차가 늦어졌다. 이후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가상자산 제도 환경 변화가 발생했고, 바이낸스의 의지가 지속 확인되면서 최근 금융당국이 이사회 변경 신고를 최종 수리했다.
고팍스는 지난 16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이번 수리는 경영 안정성과 제도적 요건 충족을 위한 과정의 일환”이라며 “향후 갱신신고 절차를 ‘고파이’ 문제 해결의 전환점으로 삼아 고객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