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확대…커지는 경영진 책임론

IT/과학

뉴스1,

2025년 10월 20일, 오후 03:13

김영섭 KT 대표가 지난 9월 11일 서울 광화문KT지사에서 열린 소액결제 피해 관련 브리핑에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공동취재)2025.9.1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KT(030200) 소액결제 사태 피해 범위가 갈수록 확대되면서 경영진 책임론도 커지고 있다. 특히 국정감사 기간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가 2000여명 늘고,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및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가 추가로 발견된 점이 책임론에 무게를 싣고 있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KT 소액결제 사건 등 해킹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질 전망이다. 과방위는이동통신 3사 대표 모두 증인으로 불러 올해 상반기 SK텔레콤(017670) 유심 해킹 사건부터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까지 통신사 해킹 문제를 다룰 예정이다.

이날 국감은 사실상 KT 청문회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KT는 김 대표 외에도 임원진이 대거 소환된다.서창석 KT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 이용복 KT 법무실장(부사장), 추의정 KT 감사실장(전무),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CISO, 상무), 허태원 KT 컴플라이언스추진실장(상무) 등이 이날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세 차례 걸친 언론 브리핑 과정에서 갈수록 피해 규모가 커지면서 김 대표 등 경영진 책임론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7일 KT의 전수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소액결제 피해 고객은 기존 362명에서 6명 늘어난 368명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10일 최초 발표 당시 278명에서 90명이 늘었다.

불법 펨토셀 ID는 기존 4개에서 16개가 추가로 발견돼 총 20개로 확인됐다. 해당 펨토셀 ID 접속 이력이 있는 고객은 2197명이 추가로 파악돼, 전체 개인정보 유출 정황 고객은 2만 2227명으로 집계됐다.

불법 기지국 접속 범위는 수도권을 넘어 강원도까지 확대됐다. 또 1년 전부터 불법 기지국을 통한 개인정보 탈취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조사 방해 의혹도 불거졌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국정감사 업무 보고를 통해 KT 측이 허위 자료 제출 및 증거은닉 등 정부 조사를 방해했다며 지난 2일 경찰에 수사 의뢰를 했다고 밝혔다. 현재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가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자리하고 있다. 오른쪽은 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장. 2025.10.14/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이를 두고 김 대표는 지난달 24일 국회 과방위 청문회에 출석해 "(펨토셀의) 관리가 아주 부실했고, 사고 이후에 망에 붙지 못하도록 조치했다"며 KT의 관리 부실 책임을 인정했다. 그러나"(해명에) 부적절하거나 부족한 점은 많지만, 조직적인 은폐 의도는 생각하지 않았다"며 사건 축소·은폐 의혹에는 선을 그었다.

또 자신을 향한 사퇴 요구에는"지금 그런 말씀을 드리긴 부적절하다. 우선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답했다.

여기에 윤석열 정부 당시 KT 대표 교체 과정의 공정성도 재조명될 예정이다.이와 관련해 구현모 전 KT 대표와 당시 사장 후보였던 윤경림 전 KT 부문장 등이 국감 참고인으로 출석한다.

당시 연임에 도전했던 구현모 전 대표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부와 여권,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의 황제 연임 우려에 자진 사퇴했다. 이후 9개월간 CEO 공백 끝에 김영섭 대표가 선임됐다. 김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로, 연임 여부에 관심이 쏠리던 상황이었다.

한편 구 전 대표는 비자금을 조성해 국회의원들에게 '쪼개기 후원'을 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아왔지만, 올해 6월 대법원으로부터 업무상 횡령 혐의 무죄를 확정받았다. 현재 카이스트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교수로 활동 중이다.

Ktiger@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