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먼저 손 내밀었다”… 가상자산 원화 거래소, 부활 신호 켜졌다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11월 02일, 오후 08:16

[이데일리 안유리 기자] 가상자산 시장에서 신규 원화 거래소의 등장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형주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선임 등 금융위원회의 1급 인사 단행으로 가상자산 정책 추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안창국·박민우 증권선물위원과 이형주 FIU 원장을 임명했다. 조기 대선과 정권 교체 여파로 지연됐던 주요 인사가 마무리되면서, 그간 정체됐던 가상자산 정책 및 제도 개선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국정감사에서 “가상자산 2단계 법안을 연내 제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가상자산 거래소 관계자는 “그동안 금융위나 FIU가 주요 결정을 미뤄왔지만, 고팍스-바이낸스 승인까지 이뤄진 만큼 이제는 정책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은행-거래소 ‘물밑 접촉’ 활발… 관계 역전

업계에 따르면 최근 코인마켓(원화 미지원) 가상자산 거래소와 시중은행 간 실명계좌 계약을 위한 협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과거 거래소가 은행에 계약을 요청하던 시기와 달리, 이제는 은행이 먼저 손을 내밀고 있다.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과 함께 2030 세대를 중심으로 한 신규 고객 확보 경쟁이 치열해졌고, 법인 계좌 허용 확대도 은행의 관심을 높였다. 특히 ‘크립토 겨울’ 이후 상당수 가상자산사업자(VASP)가 시장을 떠나면서, 이제는 거래소보다 은행이 더 많은 상황이 된 것도 변화를 촉진했다.

FIU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신고 수리를 마친 VASP는 27곳으로, 전년(44곳) 대비 급감했다. 이 가운데 코인마켓 거래소는 플라이빗·포블·코어닥스 등이 남아 있으나, 실제 활발히 거래되는 곳은 많지 않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최근 여러 은행과 실명계좌 계약을 논의 중”이라며 “사실상 주요 은행은 모두 접촉했다”고 말했다.

실명계좌 확대 기대감… 당국은 ‘신중’

업계 일각에서는 추가 실명계좌 계약을 넘어 ‘1거래소-N은행’ 체제로의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여전히 신중한 입장이다.

법에 1거래소-1은행 원칙이 명시된 것은 아니지만, 당국은 자금세탁방지(AML) 측면에서 거래소와 은행 간 연계 안정성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FIU 관계자는 일부 거래소가 복수 은행 유치 의사를 표명했다는 질문에 “거래소에서 그런 이야기를 하고 다니느냐”며 불편한 반응을 보였다.

정책 시계가 빨라지면서, 시장은 원화 거래소의 신규 진입 가능성과 기존 거래소 간 경쟁 구도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