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서울 지하철 9호선 전 구간 LTE-R 구축 완료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11월 16일, 오전 10:43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LG유플러스(032640)가 서울 지하철 9호선 전 구간에 철도통합무선망 ‘LTE-R’을 구축하며 도시철도 안전 인프라 고도화를 마무리했다.

LG유플러스는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9호선운영부문과 함께 1·2·3단계 LTE-R 구축 사업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으로 개화~신논현(1단계), 언주~중앙보훈병원(2·3단계)까지 총 38개 역, 약 40km 구간이 하나의 단일 무선망으로 통합됐다. 9호선은 하루 70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핵심 노선으로, LTE-R 구축을 통해 비상상황 대응 속도와 운행 안전성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LG유플러스는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9호선운영부문과 함께 서울 지하철 9호선 1·2·3단계 구간에 ‘LTE-R(철 도통합무선망)’ 구축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은 서울 강서구 서울시메트로9호선 사옥에서 열린 구축 완료 보고회에서 박성주 서울메트로9호선 대표이사(왼쪽 여섯번째)와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고객그룹장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기관사와 관제센터 간 실시간 연결…안전·운행 효율 동시 개선

LTE-R은 철도 운행용으로 설계된 차세대 무선통신망으로, 기관사·종합관제센터·안전관리실 간 음성·영상·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TRS·VHF 대비 전송 속도와 안정성이 높아, 기관사는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기 전 약 400m 전방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종합관제센터는 다수의 열차 운행 현황을 동시에 모니터링하며 즉각적인 지시가 가능해 운행 효율성도 향상된다.

국내 최초 ‘RAN Sharing’ 적용…전파 간섭 문제 해결

9호선 LTE-R 구축에는 국내 최초로 ‘양방향 무선망 기지국(RAN) 공유 기술’이 적용됐다. 환승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파 간섭을 구조적으로 차단하는 기술로, 김포공항역 구간에서 특히 높은 효과를 보였다. 향후 전국 도시철도 LTE-R 구간으로 확산 가능한 모델이라는 평가다.

LG유플러스는 이미 서울 지하철 1·2·3·4·5·7·8호선과 신림선·서해선 등 주요 도시철도 노선에 LTE-R을 구축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와 함께 1~8호선 노후 무선설비를 LTE-R로 전환한 경험 역시 이번 9호선 사업 안정화에 기반이 됐다는 설명이다.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고객그룹장(전무)은 “서울시와 함께 시민의 발이 되는 9호선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 의미가 크다”며 “축적된 기술력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철도 및 공공 인프라의 안전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