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 로고 /뉴스1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하고 신속한 처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관련 기관과 한자리에 모였다. 고리 1호기 해체가 본격화되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KORAD)의 2단계 처분시설 가동을 앞둔 만큼, 현장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규제 개선 필요성을 점검하기 위한 자리다.
원안위는 21일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서 '원자력안전라운드테이블'을 열고 한국수력원자력,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 방사성폐기물 관련 기관과 현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올해 여섯 번째 마련된 자리다.
회의에서 각 기관은 현재 저장·처리 중인 방사성폐기물 현황과 향후 처분 계획을 공유했다. 기관들은 고리 1호기 해체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방폐물이 대량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규제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원안위가 적극적으로 제도 개선과 지원에 나서 줄 것을 요청했다.
현장에서 누적돼 온 제도·절차상 애로사항도 언급됐다. 기관들은 보다 합리적인 규제 이행 방안, 절차 간소화, 처분시설 운영 시 예상되는 현장 문제 등 구체적인 개선 과제를 제시했다.
최원호 원안위원장은 "고리 1호기 해체 본격화는 우리나라 방사성폐기물 관리 체계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방사성폐기물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kxmxs4104@news1.kr









